반응형

 

 

Gwendy’s Button Box 
(그웬디의 버튼상자) 

 Gwendy’s Button Box is a novella written by Stephen King and Richard Chizmar.

그웬디의 버튼 상자는 스티븐 킹과 리처드 치즈마가 공동집필한 짧은 소설입니다.

 

This story is about Gwendy, a teenage girl, met a mysterious man who introduced him 

as Mr. Ferris and gave a button box to her. 

Mr. Ferris also explained what happened to Gwendy if she pushed each of six buttons 

or pull each of two levers.

이것은 자신을 페리스 씨라고 소개한 신비한 남자에게서 버튼 상자를 받은 

그웬디라는 십대 소녀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페리스 씨는 그웬디가 버튼 상자에 있는 총 6개의 버튼과 2개의 레버들을 각각 누르거나 

당기면 어떤 일이 일어날지를 설명해줍니다.

 

The button box had very strong and mysterious power and even one of its buttons 

possessed the power to destroy the entire world.

Thus, at first Gwendy refused to take the box, a really reasonable response, 

but Mr. Ferris told her that she was designated to take a good care of box 

until he would come back and take it back.

그 버튼 상자는 강력하고 신비로운 힘을 가졌고 버튼 하나는

심지어 전 세계를 파괴할 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아주 이성적인 반응으로 그웬디는 그 버튼 상자를 받지 않으려 했지만

Mr. Ferris는 그가 다시 돌아와서 그 버튼 상자를 가져갈 때까지 그녀가 그 버튼 상자를 맡아서 

잘 관리하게끔 정해져 있다고 말합니다.

 

What would you do if you were given such a button box?

The button box surely overwhelms you and as a result you would dread the box.

Yet, at the same time, is the fear the only feeling you have toward the box 

if it gives you rewards for keeping it?

What if the box’s rewards are solutions to your problems 

(in case of Gwendy, magic treats that helps her slim down) and occasional silver coins, 

each of which valued about hundred dollars?

만약 당신이 그런 버튼 상자를 받게 된다면 무엇을 하실 건가요?

그 버튼 상자는 당신을 압도할 것이고 당신은 그 상자를 두려워하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그 상자를 맡아주는 대가로 당신에게 보상이 지급된다면, 

당신은 그 상자에 대해 공포감만을 갖게 될까요?

만약 그 상자가 주는 보상이 당신의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

(그웬디의 경우엔 살이 빠지게 도와주는 마법 같은 간식)과 

가끔씩 대략 수백 달러의 가치가 있는 은화들이라면요?

 

Well, if that’s the case, fear is not the only emotion you have toward the button box. 

Even still frightened with it, you might start a bit liking it.

You find the button box very helpful since you are actually getting healthier

and more intelligent after you received it.

Then, you might become more and more dependent on that box 

despite your underlying and instinctual fear of it. 

That’s what happened to Gwendy.

그런 경우라면, 당신은 박스에 대해 두려움만을 갖지는 않을 것입니다

심지어 여전히 버튼 박스를 무서워하신다고 해도, 약간은 그 박스를 좋아하게 될 것입니다.

그 버튼 박스를 받은 후 실제로 당신이 더 건강해지고 총명해졌기 때문에, 

당신은 그 박스가 아주 유용하다는 생각할 것입니다.t

그러다 보니 그 버튼 박스에 대한 당신의 근본적이고 본능적인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당신은 점점 더 그 박스에 의존하게 될 것입니다. 

그게 바로 그웬디에게 일어난 일이죠.    

 

Is Gwendy’s dependence on the button box all we have to worry about? 

The answer is definitely no.

그웬디의 버튼박스에 대한 의존성, 그것만이 문제가 되는 걸까요?

대답은 절대로 아니다 입니다.

 

What about greed and curiosity?

탐욕과 호기심은 어떨까요?

 

On the former, Gwendy was amazing. 

She neither sought more silver coins nor spent them recklessly.

She just kept them or sold some of them for college. 

(I don’t really think about what I would do with the button box to get more money. 

I know I would never be satisfied with the occasional gains……)

전자인 탐욕에 관해서라면, 그웬디는 대단해요. 

그녀는 더 많은 은화들을 원하거나 그 은화들을 무모하게 쓰지 않았습니다.

그녀는 단지 대학진학을 위해 그 은화들을 모아두거나 일부를 팔았죠

(더 많은 돈을 얻기 위해 제가 버튼 박스에 무슨 짓을 했을지 상상하고 싶지 않네요

저라면 가끔씩 얻는 수입에 절대 만족하지 못했을 겁니다)

 

Regarding the latter, I think Gwendy also did quite a good job, 

but she was also a human being.

Thus, she wondered what would happen if she pushed a red button, 

which was the only button she was allowed to push repeatedly.

후자인 호기심에 관해서도, 저는 그웬디가 상당히 잘했다고 생각하지만, 

그녀 역시 인간이니까요.

그러다 보니, 그녀는 여러 차례 누를 수 있다고 허락받은 빨간 버튼을 

누르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를 궁금해하게 됩니다.

 

Though she had chosen the place where she had imagined that would cause the least harm 

by pushing one of the six buttons each representing a continent and pushed the red button, 

what happened after she pushed those two buttons really shocked her and even haunted her.

6개의 대륙을 나타내는 버튼들 중 그녀가 생각하기엔 가장 피해가 적을 것 같은 곳을 선택하고 

빨간 버튼을 눌르긴 했지만그 두 개의 버튼을 누른 후 일어난 일에 그녀는 충격을 받게되고 

심지어는 그 일에 대해 끊임없이 괴로워 합니다. .  

 

After that incident, Gwendy got more cautious about taking care of 

or rather possessing the button box, contemplating how much influence the box exerted in her life 

and wondering without it whether she achieved that much.

She became independent from the box and continued doing well, 

though being afraid of losing her ability and achievements without the help of the button box 

and even facing the deaths of her once-close-but-estranged friend and her first boyfriend.

그 사건 이후로, 그웬디는 버튼 박스를 관리한다는 것, 또는 그것을 소유하고 있다는 것에 대해 더 조심스러워졌고, 

실제로 그 박스가 그녀의 인생에 미친 영향력에 대해 심사숙고 하며 

만일 그 박스가 없었다면 그녀가 많은 것을 성취할 수 있었을까를 고민하게 됩니다.

비록 버튼 박스의 도움 없이는 그녀의 능력이나 성취를 잃게 되지 않을까 두려워하면서도

또 한 때 친했으나 멀어졌던 친구의 죽음 그리고 첫 남자친구의 죽음을 하면서도

그녀는 박스로부터 독립하고 계속 잘해나가게 됩니다.

 

Then story tells a little bit about her college graduation 

and describes the return of Mr. Ferris who gave Gwendy the box.

Mr. Ferris told Gwendy that she had taken good care of the box 

and he answered her questions regarding her life and the box. 

Then, he disappeared with the box.

그 이후, 이 소설은 그웬디의 대학 졸업에 대해 약간 언급하고 

그녀에게 상자를 주었던 페리스씨의 귀환에 대해 서술합니다.

페리스 씨는 그웬디가 버튼 박스를 잘 관리했다고 말하고 

그녀의 인생과 박스에 대한 질문들에 대답을 해준 후 박스와 함께 사라집니다.

 

Although both the button box and Mr. Ferris, who gave it to Gwendy, were mysterious

and somewhat frightening,  this novella is not that much horror-evoking 

as most of Stephen King’s other stories.

Rather, this one is more like a story about growing up—surely, the button box is too freaky 

to be used in a sort of coming-of-age novel.

버튼 박스와 그웬디에게 박스를 준 페리스 씨, 둘 다 신비롭고 약간은 두려운 존재이긴 합니다만, 

이 짧은 소설은 스티븐 킹의 다른 작품들 대부분처럼 공포를 불러일으키지는 않습니다.

외려, 이 짧은 소설은 성장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물론 버튼 박스가 성장소설이라는 종류에 쓰기엔 많이 기이하기는 합니다만.

 

More precisely, I think this is a story of a girl to become a good and responsible adult.

Gwendy had never been neither too greedy to acquire more rewards from the button box 

nor too weak to be totally rely on its power.

좀 더 정확히 하자면, 저는 이 소설은 선하고 책임감 있는 어른이 되는 한 소녀에 관한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그웬디는 버튼 박스로부터 더 많은 보상을 얻어내려 할 만큼 탐욕스럽지도 

박스의 힘에 전적으로 의존할 만큼 연약하지도 않았습니다.

 

Also, she became totally independent from the mysterious, somewhat evil, 

yet very tempting and strong power of the button box, making her achievements 

with its help real accomplishments of her own.

그리고, 그웬디는 신비롭고 어느 정도 사악하지만 아주 유혹적이고 강한 버튼 박스의 힘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하고 박스의 도움으로 이루어낸 성취를 그녀 스스로의 힘으로 이루어낸 성취로 만들어냅니다.  

 

Moreover, she willingly gave up the button box along with its power without any resistance, 

handing it to Mr. Ferris upon his return.

게다가, 페리스씨가 돌아왔을 때 그녀는 어떤 저항도 없이 버튼 박스와 

박스의 힘을 기꺼이 포기하고 그에게 박스를 넘깁니다.  

 

I wonder whether I could escape from the button box's power like Gwendy after experiencing it, 

even though I already know I should neither become intoxicated by its power nor own it eternally.

제가 아무리 버튼 박스의 힘에 중독되어서는 안 된다는 걸, 그리고 그 박스를 영원히 소유할 수는 없다는 걸 

알고 있다해도, 과연 그 박스의 힘을 경험한 후에 그웬디처럼 벗어날 수 있었을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Rematch (재시합)

 

The story, "Rematch," is the first short story from “One More Thing: Stories & Other Stories

written by B.J. Novak.

재시합이라는 이야기는 B.J. Novak이 쓴 한 가지 더: 이야기들 & 다른 이야기들

첫 번째 단편입니다.

 

I believe all of you know “the Hare and the Tortoise,” a fable by Aesop.

This short story is a twist of that fable.

여러분 모두 이솝 우화인 토끼와 거북이를 아실 겁니다.

이 단편은 그 토끼와 거북이를 비틀어 쓴 것입니다.

 

Imagine you’re the hare who was beaten in a match by the tortoise.

당신이 거북이와의 시합에서 패한 토끼라고 상상해봅시다.

The hare became traumatized by its defeat since everyone knew about the race

and even the future generations would learn it through textbooks.

토끼는 자신의 패배에 엄청난 충격을 받았는데 모든 사람들이 그 경주를 알고

심지어 미래 세대들도 그 경주를 교과서에서 배울 것이기 때문이다.

And, to make it worse, nobody remembered that the hare had took six naps during the match.

게다가, 설상가상으로, 어느 누구도 토끼가 시합 중에 6번이나 낮잠을 잔 것을 기억하지 못했다.

Thus, in order to shed its trauma from the defeat, the hare did everything that seemed helpful.

그래서, 패배로 인한 트라우마에서 벗어나기 위해, 토끼는 도움이 될 것 같은 것은 무엇이든 다했다.

Then the hare came to realize that the only way for it to get over its trauma is rematch

so that it called the spokesperson of the tortoise, which was busy giving lectures on dedication

and perseverance to children and even building “the Slow and Steady Foundation.”

(That was because there was no way for the hare to directly contact the tortoise, a celebrity.) 

그러다가, 토끼는 자신의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유일한 방법은 재시합이라는 것을 깨닫고

전념과 인내에 대해 어린이들에게 강의를 하며 심지어는 천천히 그리고 꾸준히재단까지 설립한

거북이의 대변인에게 전화를 했다.

(유명인사인 거북이에게 토끼가 직접적으로 연락할 방법은 없었기 때문이었다.) 

 

The tortoise’s spokesperson rejected the hare’s suggestion for rematch,

saying that the tortoise would like to concentrate on the future.

거북이의 대변인은 거북이가 미래에 집중하기를 원한다고 말하면서

토끼의 재시합 제안을 거절했다.

Being furious by the tortoise's rejection and at the same time realizing there was too much at stake

for the tortoise to accept the rematch, the hare decided to take a different approach.

거북이의 거절에 분노했지만, 동시에 재시합을 받아들이기엔 거북이에게는 너무나 많은 것들이

걸려 있다는 것을 깨닫고, 토끼는 다른 접근법을 쓰기로 결심했다.

 

The hare started training for the rematch and while it was running, it talked to everyone whom he met,

asking whether they wanted to see the rematch between it and the tortoise.

토끼는 재시합을 위한 훈련에 돌입했으며, 달리는 동안 마주치는 모든 사람들에게

자신과 거북이의 재시합을 원하냐고 물었다.

As more and more people started talking about the rematch,

the tortoise could not ignore the idea of rematch any more.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재시합에 대해 이야기하기 시작하자,

거북이는 더 이상 재시합에 대한 생각을 무시할 수 없었다.

 

At first, the tortoise rejected the rematch in public, which backfired to it

as a lot more people started talking about the rematch.

초반에, 거북이는 공개적으로 재시합을 거절했는데,

이것은 더 많은 사람들이 재시합에 대해 말하게 되는 역효과를 가져왔다.

Then, finally, the tortoise accepted the rematch and the hare really trained intensely.

그 다음에, 결국, 거북이는 재시합을 받아들였고 토끼는 정말 열심히 훈련을 했다.

 

On the day of the race, the hare gave all its heart and strength and the result was…..

(No more spoilers…).

시합날, 토끼는 심혈을 기울였고 결과는

(스포일러는 하지 않겠습니다).

 

Even after the rematch, people, who didn’t know about the first race,

could not understand why the rematch was important.

재시합 이후에도 첫 시합에 관해서 모르는 사람들은

왜 재시합이 중요한지를 알지 못했다.

 

Those who knew it understood what they had seen:

Slow and steady wins the race, till truth and talent claim their place.”

첫 시합을 아는 사람들은 자신들이 본 것을 이해했다: “천천히 꾸준하게 하면 경주에서 이긴다,

진실과 재능이 자기 자리를 차지하기 전엔. (진실과 재능이 천천히 꾸준하게 보다 중요하다)

 

Well, this story is very short, but funny and brilliant.

이 이야기는 짧지만, 아주 재미있고, 훌륭합니다.

 

What makes me really impressed was the last sentence, the underlined one,

which I write it verbatim.

제게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밑줄이 쳐진 마지막 문장인데,

이건 글자 그대로 썼습니다.

That sentence was a quite painful truth presented with a rather cynical and yet humorous tone.

그 문장은 약간 냉소적이지만 유머스러운 어조로 나타낸 꽤나 고통스러운 진실입니다.

 

I also like the author's mention about the ones who didn't know about the first match

since it shows a simple truth: what it matters to me, however important it is, doesn't always 

have such gravity to others. 

저자가 첫 번째 시합을 모르는 사람에 대해 언급한 부분도 저는 좋았는데요, 그 부분이 

"나한테 아무리 중요한 것이라도, 그게 항상 다른사람에게도 중요한 건 아니다"라는

단순한 진리를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Overall, I think what the author wrote was a very good (and realistic) story of what happened

after the famous race between the hare and the tortoise.

전반적으로, 저는 그 유명한 토끼와 거북이의 경주 뒤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를 저자가 아주 좋은 (그리고 현실적인) 이야기로 써냈다고 생각합니다. 

 

 [My Review on “Rematch,” the first story from “One More Thing: Stories & Other Stories written by B.J. Novak.]

 

Oh, I thought I posted this one on May 27th, 2020, but I found out that I didn't click the confirm button

about five minutes ago.

5월 27일에 포스팅을 했다고 생각했는데, 마지막 확인 버튼을 누르지 않았다는 걸 대략 5분 전에 알았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Success & Luck (번역서: 실력과 노력으로 성공했다는 당신에게)

by Robert H. Frank

 

What makes a person succeed?

Most of us are accustomed to the idea that talent and hard work

are the crucial factor for an individual success.

But is that true?

한 사람을 성공하게 해주는 것은 무엇인가?

우리 대부분은 재능과 노력이 개인의 성공에 중요한 요인이라는 생각에 익숙하다.

그러나 정말 그럴까?

 

Not really.

Of course it is ludicrous to ignore the significance of an individual’s talent and effort

as the fundamental ground for her success.

Yet, we witness that people with similar talents and hard work

do not end up being similarly successful—only a few of them succeed while others do not.  

그렇지는 않다.

물론 한 사람의 성공의 근본적 근거로써

그의 재능과 노력의 중요성을 무시하는 건 터무니없는 일이다.

그러나 우리는 비슷한 재능과 노력으로도 비슷하게

성공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많이 봐왔다그들 중 소수만 성공을 하고 다른 사람들은 성공하지 못했다.

 

Thus, here comes the third, maybe the most important, factor comes, which is luck.

Almost all successful people had lucky breaks that made them stand out among people

who possessed the same (or more) talents and worked as hard as they did—actually even harder.

Thus, it is hard to deny luck really matters when it comes to success.    

그렇지만, 여기에 세 번째의, 아마도 가장 중요한, 요인이 있습니다, 바로 운입니다.

거의 모든 성공한 사람들은 같은 (또는 더 많은) 재능을 갖거나 그들만큼 열심히 노력했던실제로 더 많이

노력했을사람들 틈에서 눈에 띌 수 있게 해준 행운이 있었습니다.

 

If chance events have such a power in determining a person’s success,

then why don’t people emphasize the luck factor in discussing success?

There are two strong reasons: One is that focusing solely talent and effort

makes it easier for the successful to claim their achievement.

The other is that stressing the importance of talent and effort rather than

that of random luck can help people overcome obstacles to their success.

만약에 우연한 사건이 한 사람의 성공을 결정하는 그런 힘이 있다면,

왜 사람들이 성공을 논할 때 운이라는 요인을 강조하지 않을까요?

여기에는 두 가지 강력한 이유가 있습니다: 하나는 재능과 노력만을 강조하는 것이

성공한 사람들이 자신들의 성취를 주장하는 게 좀 더 쉽다는 것입니다.

또 다른 이유는 재능과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무작위의 운을 강조하는 것보다는

사람들에게 성공으로 가는 장애물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Yet, the author sees a grave problem especially

about the one related to the first reason

since people who advocates the former reason seemed to ignore their luck,

thinking their success is the result of their luck and effort.

Such people tend to ignore benefits they get from their environments by sheer luck,

such as having been born in a well-to-do family, which could be the essential factor for their success.

What if all successful people, especially those who were benefited from such environments,

refuse to share their luck that made them successful,

believing their success was the mere result of their talents and efforts?

The effect of such behavior becomes huge since we now live in a winner-take-all society,

which augmented the importance of luck to be a handful of winners.

The presence of super riches who try to influence government tax policies in their favor reveals

the need to help the public increase the awareness of luck in success. 

그러나 저자는 특히 첫 번째 이유에 관련해서 심각한 문제를 인지했는데

왜냐하면 그 이유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스스로의 운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 사람들은 순수한 운 덕분에 예를 들면 부유한 집안에 태어난 것 같은

자신의 환경에서 얻는 이득이 성공에 필수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무시한다.

만약에, 특히 그런 좋은 환경으로 이득을 얻은 모든 성공한 사람들이

자신들의 성공이 그저 자신들의 재능과 노력의 결과라고 믿고,

자신들을 성공하게 만든 운을 나누기를 거절한다면 무슨 일이 일어날 것인가?

그러한 태도의 결과는 엄청날 것인데 우리가 승자가 모든 것을 차지하는 세상,

운의 중요성을 소수의 승자에게만 강화시키는, 그런 세상에서 살고 있기 떄문이다. 

자신들에게 유리하도록 세금정책에 영향을 주려하는 수퍼리치들의 존재가

성공에 있어 운의 중요성에 대한 일단 대중들의 인식을 늘리게 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According to the author, the investing more on infrastructure is

one of the important ways to make luck more available to the public,

and the first step to do so is to reduce people’s consumption on luxury,

which has skyrocketed since the 1980s while their income has increased smoothly.

Consumption on luxury goods, which is mainly because people’s “frames of reference,”

the willingness to consume in order to keeping up with others, has soared.

For example, the cost of average American wedding ceremony has been tripled since the 1980s.

The author points out that such increased cost never guarantees the increase in satisfaction and happiness,

so it is a lot wiser to adjust the public’s “frame of reference,” to consume prudently,

and to use money saved from avoiding waste to promote society’s infrastructure.

The author also claims a “progressive consumption tax,” as a practical mean to cut down social waste.

The idea of the “progressive consumption tax” is to impose tax on beyond certain level of consumptions,

more precisely mainly for consumptions of top earners that suits their “frames of reference.”

저자에 따르면, 사회기반시설(인프라)에 투자를 더 많이 하는 것이

대중이 운을 누릴 수 있게 만드는 좋은 방법 중 하나이고,

실제로 그런 투자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첫 번째 단계는 1980대부터 사람들의 소득이

순조롭게 증가하면서 급증했던 사치품에 대한 소비를 줄이는 것이다.

주로 사람들의 준거 틀,” 다른 사람들을 따라잡기 위해

기꺼이 소비하려는 마음,에서 비롯되는 사치품 소비는 급증했다.

예를 들면, 1980년대 이래로 미국의 결혼식 비용이 3배가 되었다.

저자는 그런 늘어난 비용이 만족감이나 행복감의 증가를 보장해주지 못하므로

현명한 소비를 위해 사람들의 준거 틀을 조정하고 낭비를 줄여

남는 돈을 사회기반시설에 투자하는 것이 더 현명하다고 주장한다.

또한 저자는 누진 소비세를 사회적인 낭비를 줄이는 실용적인 수단으로 주장한다.

누진 소비세는 특정 수준을 넘어가는 소비에는, 좀 더 정확히는

최고소득자들의 준거 틀에 맞는 소비에는, 세금을 매기는 것입니다.    

 

Adding to this, the author argues public opinions on success should be changed regarding luck,

yet quite positive about the immediate change on this point.

Also, he underscores that an individual should acknowledge luck’s importance in her success

since having such an attitude makes her a more valuable team player

and this helps her get more opportunity to further her success by chance,

not to mention having the better relationships with people around her.

여기에 더해서, 저자는 사람들의 성공에 대한 의견이 운에 관해서는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이 부분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변화에 대해 상당히 긍정적이다.

또한 그는 개인이 자신의 성공에 있어 운의 중요성을 인지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는 데

이유는 그런 태도를 갖는 것이 좋은 팀 플레이어가 되게 하며,

그 태도가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가 좋아지게 하는 것은 물론

우연히 그 개인이 더 성공할 기회를 주기 때문이다.

 

반응형
반응형


테드 창,바빌론의
  Ted Chiang, Tower of Babylon

(테드 창의 단편집 당신 인생의 이야기 번째 단편.)

(First Short Novel of Ted Chiang’s Stories of Your Life, A Collection of His Short Stories)

 

당신 인생의 이야기 구입한 이유는 내가 없는 이유로 한국에서는 Contact라는 제목으로 개봉된

영화 Arrival  때문이었다. 소설을 기반으로 영화가 개봉될 마다, 원작 소설 자체도 맹렬히 홍보가 된다.

그런 홍보 덕분에,  신문 서평에서 당신 인생의 이야기라는 책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공상과학 소설을 그다지 좋아하지는 않지만, 호의적인 신문 서평과 아마존에서의 열광적인 서평들 때문에

결국 책을 사게 되었다. 

I purchased “Stories of Your Life” because of the movie, “Arrival,” released in Korea

with the title of “Contact” for some reason I still don’t know.

When every movie based on a novel is released, the novel itself is also fiercely promoted.

Thanks to such promotion, I acknowledged the presence of this book, “Stories of Your Life,”

in the book section of a newspaper. I wasn’t particularly a great fan of science fictions,

but I was persuaded to buy this book by a really favorable review in the newspaper

along with rave Amazon reviews on the book.

 

책을 처음 펼쳐서 번째 소설의 제목을 읽었을 , “? 바빌론의 ? 성경에 나오는 바빌론?” 이라며 의아해했다.

그 바빌론이 맞았다주인공은 Elam땅에서 광부인데, 바빌론의 정상에서 창공(蒼空) 깨고
안으로 들어가는 일을 하기 위해 바빌론으로 불려 왔다.

When I opened the book and read the title of the first novel, I wondered, “What? Tower of Babylon?
Is it the Babylon in the Bible?” Yes, indeed it was.
The main character was a miner from the land of Elam, brought to Babylon to break
and dig through the vault of heaven on the top of the tower.


 

초반 페이지를 읽으며, 나는, “뭐야? 공상과학소설은 주로 진보된 사회나 미래사회
그런 기술들을 기반으로 하는 아니었어?” 라며 놀라고 말았다.
그렇기는커녕, 소설은 당시의 기술만을 보여주고 있다. 등장인물들은 지구가 평평하다고 믿고 있고,
탑을 오르면서도 그런 믿음에 기초하여 지구와 천체를 관찰한다. 
지금에서야 내가 얼마나 공상과학소설 장르에 무지했는지를 깨달았지만, 당시엔 몰랐었다.
다행스럽게도 소설을 계속 읽을 있었던 , 아름다운 문장을 쓰는 작가의 탁월한 능력 때문이었다.
소설 바로 문장이 눈과 마음을 사로잡아 버렸다.

While reading very first few pages, I was also surprised.
“What is it? Isn’t science fiction usually based on advanced or futuristic societies and such technologies?”
Rather, the story only presents technologies in that time—its characters believed
the earth was flat and their observation on the earth and a celestial body
while climbing up the tower also reflected such beliefs.
Now I realize how ignorant I was about the science fiction genre! But at that time, I didn’t know it.
Yet, fortunately I kept reading it because I was deeply impressed by the author’s excellent ability
to create beautiful sentences. The very first sentence of the story literally caught my eyes and mind.

 

주인공과 동료광부들은 수개월 걸려 바빌론 탑의 정상에 오르게 된다.
작가는 정상까지 이르는 그들의 여행을, 탑의 거주자들이나 광부들이 탑의 높이에 적응하는 모습
그리고 정상까지 이를 동안 풍경의 변화들로, 손쉽게 시각화 있게 만든다.
  

The main character and his co-miners climbed the tower for several months to reach its top.
The author describes their journey to the top with descriptions on the tower-dwellers,
miners’ adaptation to the tower’s altitude, and changes in sceneries as they made their way to the top,
all of which can easily be visualized with ease.        

 

야훼에게 다가가기 위해 창공을 부숴야 하는 주어진 임무에 대한 주인공의 생각 역시 탑을 오르며 변화를 겪게 된다.
처음엔, 탑을 세운 인간의 업적에 대한 감동만을 느꼈지만, 탑의 정상에 다가감에 따라 그는, 야훼에 대한 경의를 느끼고
야훼에게 감히 닿고자 하며, 창공을 부수려는 사람들을 야훼가 처벌하지 않을까 라는 하는 두려움을 느끼게 된다. 

Also, the main character’s mind toward his assigned task, to break the vault of heaven to reach Yahweh,
went through some changes as he climbed to the top of the tower.
At first, he was only moved by humans’ achievement, building the tower,
but as he became closer to the top, he was in awe of Yahweh
and started fearing that he would punish humans for daringly trying to reach him,
even breaking the vault of heaven.

 

결국, 그는 탑의 정상에 다다르고 창공을 부수기 시작했고, 이후 광부들이 뚫고 들어간
창공 터널에 저수지들과거 지구를 물에 잠기게 했던 바로 저수지들 물이 터널에 범람하지 않도록
막아주는 화강암 미닫이 문을 만드는 이집트인들과 같이 일하게 되지만,
어느  광부들은 창공 안의 저수지를 터뜨리게 되고 터널들은 물에 잠기게 된다.
주인공은 닫혀버린 미닫이 문과 쏟아지는 사이에 명의 동료들과 같이 갇히게 되고,
그들은 물에 빠지게 된다. 주인공은 점점 숨이 가빠지는 것을 느끼면서.....

Finally, he reached the top and started breaking the vault of heaven, later working along with
the Egyptians designated to build granite sliding doors to prevent water of the reservoirs in heaven
—yes, the ones that had flooded the earth—in tunnels the miners dug into the vault.
The work proceeded for some time, but one day they hit the reservoir
and the tunnel inside the vault of heaven became flooded.
The main character was stuck between closed sliding doors and flooding water
with his two coworkers and they became drowned in the water.
Then he felt he became out of breath and...

 

단편은 너무나 훌륭했고, 모든 공상과학소설이 진보된 기술이나 미래기술을 다룰 필요는 없다라는 ,

그리고 고대(古代) 당시의 기술 역시 공상과학소설의 좋은 배경이 된다는 것을 내게 가르쳐 주었다.
게다가, 글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끝부분 페이지들은, 영감을 주며, 철학적이고, 심지어는 종교적이기도 한다.
부분은 주인공이 야훼가 하늘에 닿으려는 인간들을 그냥 내버려 이유를 깨닫게 되고,
세계, 야훼의 세계와 인간의 세계, 간의 관계를 주인공이 이해하게 되는 것을 서술하고 있다.
단지, 번째 단편소설을 읽는 것만으로도 나는
Ted Chiang 팬이 되어버렸다.    

This short story was really brilliant, making me realize that all science fictions
don’t always need to deal with advanced or future technology and that the ancient time
can be a good setting for the kind of fiction with its own technology.
Moreover, it is really insightful, philosophical and even religious
because of its last few pages, also my best part. It was the main character’s realization on the reason
why Yahweh did leave people trying to reach heaven, and his comprehen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orlds: Yahweh’s and humans’. Reading just the first short story is more than enough
for me to become a fan of this writer, Ted Chiang.

 

반응형
반응형


나쁜
아이 (“알쟎아, 네가 이걸 원했다는 번째 단편 

Bad Body, (the first short story of You Know You Want This)

 

최근, Kriten Roupenian 알쟎아, 네가 이걸 원했다는 .” 이라는 제목의 단편 소설집을 샀다.

“Cat People” 이라는 그녀의 단편 소설이 많은 찬사를 받았고, 소설의 성공으로 인해

알쟎아, 네가 이걸 원했다는 많은 유명잡지들로부터 2019 가장 기대되는 책들
하나로 지목되었다.

 I recently bought a book with the title,“You Know You Want This,” a collection of short stories
written by Kristen Roupenian. Kristen was very highly acclaimed for her short novel, “Cat People,”
and its success led “You Know You Want This” to be named one of the most expected books
in 2019 by many famous magazines.

 

솔직히, 책을 향한 열성적인 찬사를 의심하긴 했지만, 책에 다행이 수록되어 있는
“Cat People” 영화화된다는 소식에 (영화화된 책들을 믿거나 좋아하진 않지만, 왠지 당시엔 사야 같아서)
책을 구매하게 되었다.   

Frankly speaking, I had my doubt on such enthusiastic compliments for this book,
yet I bought it anyway because I read the news that “Cat People,”thankfully included in the book,
was to be made into a movie. (Not that I trust and enjoy all filmed books, but at that time I felt
I needed to purchase it.)

 

나쁜 아이 단편집의 번째 소설이다. 커플과, 끔찍한 여자친구와 방금 헤어진
그들의 친구에 관한 이야기이다. 슬픔과 절망에 빠진 친구는 커플의 아파트에 예상보다 오래 머물게 된다.
자연스럽게 커플은 친구의 존재를 불편하게 여기게 된다. 그래서 커플은 마치 친구가 없는 것처럼
행동하지만, 그는 전혀 동요하지도, 당황하지도 않는다.  

“Bad Boy” is the first short novel of the collection. This story tells of three people, a couple
and their friend who just broke up with his awful girlfriend. Being really in grief and despair,
he stayed in the couple’s apartment longer than the couple expected,
and naturally the couple came to feel uncomfortable in his presence.
So, they tried to nudge him to go back to his apartment by acting like they assumed him
being not there, but he didn’t budge and was never embarrassed.

 

그들 모두가 심하게 취했던 어느 ,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다. 커플은 그와 이상한 관계로 발전하게 된다:
초기에, 관계는 전부 친구를 정상적인 삶으로 돌아가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커플이 친구에게
명령을 내리긴 하지만, 약간은 친구의 부모처럼 행동했다.
그러나 이런 관계는 친구가 몰래 끔찍한 여자친구와 연락을 계속하고 있었다는 것이 밝혀지며 끝난다.
사실을 발견하고, 커플은 친구를 심하게 혼내고, 그에게 강압적으로 변하기 시작한다
일종의 주종관 (커플이 주인이고 친구가 종인)같은 그런 관계로.
순간부터 상황은 걷잡을 없게 되는데, 그들은 친구에게 못되고 잔인하게 굴고,
집착하며, 완벽하게 통제하려 하는데, 친구는 그들에게 진심으로 복종하지 않는다.. 

One night, when all of them got drunk, things got changed.
The couple sort of developed an odd relationship with him: At the very beginning,
it was just all for helping him back to normal life—the couple acted somewhat like his parents
even though they give orders to him, but this ended abruptly
when they found out he secretly kept touch with his awful girlfriend.
At the discovery, they scolded him severely and were getting oppressive to him,
having a kind of relationship between rulers (the couple) and their subject.
From that moment, things became out of their hands: they were getting mean,
cruel and obsessed with him, trying to control him absolutely,
while he didn’t wholeheartedly give in.

 

그러다가, 어느 친구는 갑자기 자신의 아파트로 돌아갔고, 커플의 전화와 문자에 응답하지 않는데,
커플은, 조금은 친구에 대한 자신들의 행동에 대한 부끄러움과 당혹감에서,
대부분은 친구의 반항에 분노해서, 제정신이 아닌 상태가 된다.
결국, 그들은 친구가 그의 아파트에서 끔찍한 여자친구와 같이 있는 것을 발견하고,
자신들의 명령에 따를 것을 요구한다.  친구는.....

Yet, suddenly the friend went back to his apartment one day,
and did not return the couple’s calls and texts, which drove the couple insane,
being partly shameful and embarrassed by their actions to him and mainly furious by his defiance.
Finally, they found him with the awful girl friend at his apartment, and they asked him to obey their order.
Then, he.....

 

결말을 알면 이야기를 읽는 기쁨을 망치게 것이라서, 결말은 말하지 않겠지만,
나쁜 아이 읽은 나는, 어안이 벙벙하고, 심한 공포에 빠지기까지 했다.
멋진 이야기를 만들고, 등장 인물 명간의 관계의 변질을 세밀하게 묘사하고,
커플이 친구를 지배하고 싶어하는 심정을 이해하게 설득하고, 일상적인 상황을 공포로 만드는 저자의 능력에
정말 깊은 인상을 받았다는 역시, 강조하고 싶다.
그녀의 잔잔하고 간결한 문체는 이야기를 더욱 자연스럽고 등골이 오싹하게 만든다.

I am not gonna tell you how the story ends since doing it only spoils your pleasure of reading.
One thing to point out is, after finishing reading “Bad Boy,”
I was dumfounded and even fell into a deadly fear.
Also, I want to emphasize that I was really impressed by the author’s ability to make a brilliant story,
to describe the distortion of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characters in detail,
to persuade me into following psyche of the couple developing obsession to rule their friend,
and to turn a probable everyday situation into a horror.
Her style of writing is very calm and concise, which makes her story more realistic and spine-chilling.

 

책의 단편소설들 전부의 제목, 그리고 자체의 제목도 한글로 출판될 때는 의역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그냥 직역했습니다.

I believe the titles of all t short stories in this book—actually the book’s title, too—will be
loosely translated when published in Korean. I translate those titles word-for-word.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