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 White Crime Writer’s Thoughts on Police Brutality

경찰가혹행위에 대한 백인 범죄소설 작가의 생각.

 

This post is a summary of the article,

“How White Crime Writers Justified Police Brutality” by John Fram,

published on June 2020, in the New York Times.

이 게시물은 2020 6 4일에 뉴욕 타임스에 게재된 John Fram

백인 범죄소설 작가들이 어떻게 경찰의 가혹행위를 정당화했는가?”라는

기사를 요약한 것입니다. 

 

The author of this article, he himself as a crime fiction writer, claims that

white crime writers somewhat have responsibility on the murder of black citizens.

범죄소설 작가인 이 기사의 저자는 백인 범죄소설 작가들이

살해된 흑인시민들에 대해 다소간의 책임이 있다고 주장한다.

 

He explained most Americans’ image of the police mainly stems from books and TV shows,

depicting them using force to extract information from suspects.

부분의 미국인들이 경찰에 대해 갖고 있는 이미지는 책이나 TV 프로그램에서 기인하는 데,

그런 책이나 TV 프로그램은 경찰이 용의자에게서 정보를 얻어내기 위해 폭력을 사용하는 것을 묘사한다.

Such illustration somehow implicitly makes people think the use of force by the police might be justified.

그런 묘사는 어떻게든 암묵적으로 사람들에게 경찰이 폭력을 사용하는 것은 정당하다고 생각하게 만들다.

 

Ironically, early crime fictions were skeptical about the law enforcement,

mainly writing the stories of letting private investigators upheld justice.

아이러니 하게도, 초기의 범죄소설들은 법의 집행에 대해 회의적이어서,

주로 사립탐정들이 정의를 지탱해나가는 이야기들을 썼다.

However, this tendency changed in the 1950s

when crime novels featuring the police became popular.

그러나 이런 경향은 경찰을 주연으로 하는 소설들이

인기를 끌게 된 1950년대에 바뀌게 된다.

With that newly gained popularity, crime fictions had new platforms such as TV and radio.

새로 얻은 인기와 함께, 범죄 소설들은 TV나 라디오 같은 새로운 플랫폼을 얻게 된다.

Yet, these new media came at a cost, especially on TV shows,

which needed the police’s cooperation for production.  

그러나 이런 새로운 미디어는 대가를 치르게 되는데,

특히 제작을 위해 경찰의 도움이 필요했던 TV쇼의 경우 더 그랬다.

Such as a need somewhat pressured the TV shows to be in favor of overall police activities,

even leading the TV shows to a sort of “police propaganda.”

그런 필요성은 다소 TV쇼가 경찰의 활동을 호의적으로 대하게끔 압력을 넣었고,

심지어는 TV쇼가 일종의 경찰 과대선전이 되었다. 

In addition, the TV shows and the police developed mutual interest.

거기에 더해, TV쇼와 경찰은 상호이익을 증진시켜 나갔다.

 

Considering that, it is no wonder that books and TV shows illustrate the police

with a favorable eye, and even turn a blind eye to officers’ excessive use of force.

이런 점을 고려할 때 책이나 TV show가 경찰을 호의적으로 묘사하고,

심지어는 경찰들의 과다한 폭력 사건들을 눈감아주는 것은 놀랄만한 일이 아니다.

And, obviously, most of those products are created

by white males who’ve rarely experienced police brutality.

그리고, 분명히, 그런 창작물들은 경찰 가혹행위를 경험해 본적 없는

백인 남성들에 의해 만들어졌다.

Moreover, even those white male writers can risk their careers if they defy this trend.

게다가, 그런 백인 남성 범죄소설가들 조차도, 그런 흐름을 거부하면, 경력이 위태롭게 된다.

 

Although there are people who express their concerns on lionizing the police

(even with a not much strong voice), the author points out that

they miss an important point: people “write what sells.”

비록 경찰을 치켜 올리는데 대해 우려를 표명한 사람들 (비록 생각보다 목소리는 작았지만)이 있지만,

저자는 그들이 중요한 요점, “팔리는 것을 쓴다라는 것을 놓치고 있다고 주장한다.  

The author asserts that the market’s taste can be altered and the success of some stories,

quite deviant from the trend, shows the possibility of change,

which lets writers write even dangerous cops.

저자는 시장의 취향이라는 것이 바뀔 수 있다고 주장하고,

트렌드와는 상당히 동떨어진 이야기들의 성공이 변화의 가능성을 이끌어 내어 작가들이

위험한 경찰에 관해서도 쓸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단언했다.

This would be plausible with more diverse writers such as writers

with diverse color, or L.G.T.B.Q. orientation; or authors featuring female protagonists

who passionately break taboos on typical crime fictions and help the oppressed find their voices.  

이것은 다양한 피부색을 가졌거나, 성적 소수자인 작가들,

또는 열정적으로 일반적인 범죄소설의 터부를 깨고 억압당한 사람들에게 자신의 목소리를 찾도록

도와주는 여성주인공을 등장시키는 작가들에 의해 가능하게 될 것이다.

 

Adding to that, the author maintains that crime writers in general

should acknowledge those victimized by the police

and they can use their works as a means to fight the racism in police

with the power of crime novels’ huge popularity and influence on people.

거기에 더해, 저자는 대체로 범죄소설가들이 경찰에게 괴롭힘을 당한 사람들을 인지해야 하고,

자신들의 작품들이 갖고 있는 엄청난 인기와 사람들에 대한 영향력을

경찰 내의 인종차별에 맞서기 위한 수단으로써 작품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One thing that really bothers me while reading this article is I have to be really attentive to what I look and read.

이 기사를 읽으면서 정말 신경 쓰인 것은 내가 읽고 보는 것에 대해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는 것이다.

 

[Source: “How White Crime Writers Justified Police Brutality” by John Fram, published on June 2020,

in the New York Times]

 

 

 

 

반응형
반응형

 

Roger Federer Will Always Be the Greatest (Even if He’s Not)

로저 페더러는 언제나 최고일 것이다 (비록 그가 최고가 아닐지라도)

 

This post is based on an article from the New York Times on Jan, 19, 2020,

with the above-mentioned title, written by Michael Steinberger.

게시물은 Michael Steinberger 2020 1 19일에 뉴욕타임스에

기고한 같은 제목의 기사에 근거한 것입니다.

 

Roger Federer, the 38-year-old tennis player, has owned the record of

20 Grand Slam singles titles

and he is ranked third (as Jan 19, 2020).

Although he is still capable of winning any tournament,

this year might be his last as a professional player.

Considering this, the biggest thing that bothers his loyal fans is

that his record of 20 major titles can be broken

by other two strong contenders younger than him,

namely Rafael Nadal (with 19 major titles), and Novak Djokovic (with 16).

38살의 테니스 선수인 로저 페더러는 그랜드 슬럼 20 우승기록을 갖고 있고

2020 1 19 현재 세계 3위이다.

아직까지도 그는 어떤 대회에서든 우승할 있지만,

올해가 프로선수로써 그에겐 마지막 해가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할 페더러의 열성적인 팬들이 가장 신경 쓰는 것은

페더러의 그랜드 슬램 20 기록이 젊은 명의 경쟁자들,

라파엘 나달 (19) 노박 조코비치 (16) 의해 깨질 것인가 하는 것이다.

 

If one of them (possibly all of them) indeed wins more than 20 titles,

Federer will not be “the greatest male tennis player of all the time.”

Even Federer himself said that Nadal and Novak would win more

and it would be OK to him because in a sport what matters is numbers

in an interview with the Associated Press.

Yet, Federer enthusiasts find it hard to swallow that.

Faithful Federer fans and the author (one of them) cannot really accept

such a simplification of putting everything in numbers in sports.

According to the author (and many of Federer fans including myself),

there are somethings the numbers cannot tell and

one of the certain things among them is the beauty of tennis

which only Federer can convey with his play throughout the history of tennis.

만약 하나 (또는 ) 20 이상을 거둔다면,

페더러는 계속 가장 위대한 테니스 선수가 없다.

페더러 스스로도 연합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나달과 노박이 자신보다 많은 승리를 거둘 것이고

자신은 그것에 대해 괜찮다 왜냐하면 스포즈에서 중요한 숫자니까 라고 말했다.

그러나 페더러의 열성팬들이 그런 일을 받아들이긴 힘들다.

페더러의 충실한 팬들과 그들 중 하나인 저자도, 모든 것을 숫자로 간주하는

스포츠에서의 단순화를 진정으로 받아들이지 못한다.

저자(그리고 나를 포함한 페더러의 열성팬들)에겐 숫자가 말해주지 못하는 것들이 있고,

그런 것들 중에서 분명한 것은 테니스의 역사를 통틀어 페더러 만이

그의 플레이를 통해 전할 있는 테니스의 아름다움이다.

 

Frankly, I cannot deny that my paraphrasing of this article

is done with much more enthusiasm for Roger Federer that the original article.

I cannot forget the grace and beauty of his play,

especially at the height of his career.

I still do believe his heyday is not over yet.

솔직히 원래 기사보다 Roger Federer 대한 열의를 갖고 다른 말로 표현했다.

전성기 그의 플레이의 우아함과 아름다움은 잊을 수가 없다.

나는 아직도 그의 전성기는 끝나지 않았다는 것을 믿는다.

반응형
반응형


학교에서는
분명히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우세한데,
직장에서는 최고위직을 차지하는 남성들이 여성들보다 훨씬 많을까?

Girls surely outperform boys at school, but why are
they far less likely to take top positions than boys at the office?

 

게시물은 2019 2 7일에 뉴욕타임즈, Opinion page 게재된, 임상 심리학자 Lisa Damour
여학생들은 학교에서는 남학생들에게 승리하지만, 직장에서는 패배할까?” 라는 기사를 요약한 것입니다.

This post is the summary of the New York Times article on opinion page,
“Why Girls Beat Boys at School and Lose to Them at the Office,” written by Lisa Damour,
a clinical psychologist, and published on Feb 7, 2019.

 

여학생들은 초등학교부터 대학교 때까지 거의 모든 단계의 학교에서 남학생들을 학문적으로 능가한다.
그녀들은 남학생보다 학업에 전념하며 학업에 대해 진지하다.
그러나 직업을 가지게 후에, 승자가 되고, 최고위직의 절대적인 대다수,
거대 공개 기업 최고위직의 95%, 차지하는 것은 남학생들이다.

Girls academically outperform boys at almost all levels of schools,
ranging from elementary school to college. They are more committed and serious
to their school work than boys. However, after joining the workforce, boys are the ones
who prevail and they take the absolute majority of top jobs, an incredible 95 percent of
the top positions in the largest public companies.

 

충격적인 점은, 좋은 성적을 받는 여학생들 대부분이 가지고 있는 지나친 세심함이,
그녀들이 직장에서 발전해나가는 것을 방해한다는 것이다.

Shockingly, the overscrupulousness, with which most girls with high grades are equipped,
hinders them from advancing in the world of business.

 

저널리스트 Katty Kay Claire Shipman 최근에 조사한 바에 따르면, 직장에서 여성들이 최고직위에
오르지 못하는 가장 장벽은 능력부족이 아닌 자신감부족 이라는 것이다.
남성들은, 심지어 능력이 부족한 경우에도, 여성들 보다 훨씬 강한 자신감을 갖고 있다.
남성들은 여성들보다는 자신들의 능력에 대해 걱정을 하며, 업무관련 과제에 대해서는
거의 항상 바로 달려든다. 그러나, 여자들의 경우, 훨씬 좋은 가격과 준비를 갖췄음에도 불구하고,
남성들과 같은 과제를 받았을 , 여성들은 과제를 하지 않는데, 여성들은 자신이 완벽하지 않다면
자신감을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

According to a recent investigation done by the journalists Katty Kay and Claire Shipman,
the main barrier for woman to get promoted to the top positions is not their lack of competence,
but their lack of confidence. Men usually have far better confidence than women,
even with their lack of competence. Men tend not care about their competence than women
and they almost always just dive into work-related task. Yet, despite their much better qualification
and preparation, when women face the same task, they usually refrain from undertaking it
because they are not sure about their competence unless they are perfect.

 

임상심리학자로 일하면서 저자는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접근에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을 목격해왔다.
일반적으로 여학생들은 학업에 최대의 노력을 기울이지만 남학생들은 중간 정도,
또는 좋은 성적을 얻기에 충분한 만큼만의 노력을 한다. 이런 차이에 의해, 남학생들은 최소한의,
또는 보통 정도의 노력만해도 좋은 점수를 얻을 있다는 것을 깨닫게 하여,
스스로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기르게 만든다. 이와는 반대로 여학생들은 좋은 점수를 얻기 위해
최선의, 또는 과도한 노력을 함으로써 자신들의 능력을 쌓아가게 된다.
이러다 보니 여학생들은 자신들이 완벽해져야만 한다 라는 생각을 갖게 된다.
결과적으로 그런 완벽주의적 사고방식이 여학생들의 마음에 스며들게 된다, 그러나, 여학생들만큼
열심히 하지 않아도 학업을 해낼 있다는 것을 깨달은 남학생들은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된다  

The author, a clinical psychologist, has been witnessing gender difference in students’ approaches
toward school in her practice. Typically, girls put their best efforts in their schoolwork
while boys just make moderate or enough efforts to get a good grade.
That difference lets boys develop confidence in their abilities
since they become to know they can still get good grades with their minimal or moderate efforts.
On the contrary, girls might build their competence by putting the best or even excessive
efforts to get good grades, which makes them believe they have to be perfect.
As a result, the perfectionist mindset gets ingrained in girls, yet boys, who realize that
they can get through schoolwork while not working as hard as girls, instill confidence in their abilities.

 

저자는 과도하게 학업에 몰두하고 지나치게 부지런한 여학생들이 완벽주의적 사고방식을 갖지 않고
학교에서 자신감을 기르도록 돕기 위한 몇 가지 방법들을 제안한다
.
첫째, 여학생들의 학업에 대한 지나친 세심함은 어린 나이에 시작되기 때문에,
부모들과 교사들은 여학생들이 무리한 공부를 했을 때 칭찬을 하면 안 된다.
두 번째로, 부모와 선생님들은 여학생들에게 노력을 절약하는 것(경제적인 노력)”에 대해 가르쳐야 한다.
그래서 그들이 비효율적으로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쓰면서 과도하게 공부하지 않게 해야 한다.
셋째, 교사들은 여학생들에게 주어진 주제에 흥미를 가져서 여분의 숙제를 한 제출한 경우가 아니라면,
여분의 숙제를 내지 말라고 조언해야 한다. 왜냐하면, 여학생들이 가끔은 가산점을 받을 수 있는 숙제를  
자신들이 원하는 점수를 받기 위한
보험점수를 모으려고 제출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교사들과 부모들은 여학생들에게 학교에 대한 부담감을 느끼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고
그런 부담감은 그들이 학교에 대해 관심이 있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려주어야 한다
.

The author suggests several ways to help excessively committed and over-diligent girls
not to have such perfectionist mindset and to build confidence at school.
First, parents and teachers should not acclaim girls’ overwork since girls’super-scrupulous
approach to schoolwork is established at an early age.
Second, parents and teachers need to teach girls on “the economy of effort”so that they do not
merely overwork by spending more time and energy without much efficiency.
Third, teachers should advise girls not to turn in overworked assignments 
unless they have done more work because of their interests in the subject.
This is because girls sometimes submit extra credit work to accumulate “insurance points,”
which can be used to help them secure the grades they want.
Finally, teachers and parents should tell girls that it is natural to feel anxiety about school
because having anxiety on something means caring about it.

 

비록, 자신의 딸들이 회사에서 최고위직을 차지하는 관심이 없는 부모들이라 해도,
계속적으로 최대한의 노력을 하는 것은 여학생들의 건강에 견디기 힘든 스트레스를 준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염려해야 한다.

Even though some parents and their daughters do not put much care on getting top jobs in companies,
they should worry about the fact that continuously putting maximum efforts gives intolerable
stress on girls’ health.

 

또한, 저자는 남학생과 여학생들 간의 자신감의 차이가 여성들이 남성들보다 최고위직을
훨씬 적게 차지하는 유일한 이유가 아니라는 것을 지적한다.
성차별,” “성희롱,” 그리고 구조적인 장애들역시 중요한 이유들로서 언급되었다.
그러나 스스로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갖춘 것이 남성들에게 대단히 유리한 점이라는 것을 인지한다면,
우리는 적어도 여성들이 일을 시작할 반드시 그와 똑같은 이점을 갖도록 해주어야 한다
.

The author also points out that the confidence gap between boys and girls is not the only reason
why women take far fewer top positions than men.
“Gender bias,” “sexual harassment” and “structural barriers” are referred as the main reasons.
Yet, acknowledging that being equipped with confidence in one’s abilities
can be a great advantage to men, we need to be sure that women should have such advantage
when entering the workforce.

 

 

반응형
반응형

로봇을 파괴하는 것은 우리의 본성인가?
(
Is it human nature to destroy robots?)

 

포스팅은 John Engel Bromwich 작성한 2019 1 19일자 뉴욕 타임즈 기사인 우리는 로봇을 해치는가?”

라는 기사를 요약한 것입니다.

This posting is the summary of the New York Time’s article with the title, “Why Do We Hurt Robots?”

written by Jonah Engel Bromwich and published on Jan, 19. 2019.

 

사람들이 로봇들을, 특히 인간과 닮은 로봇들을, 공격하거나 해치는 경우들이 있다. 그런 일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인가? 

일자리를 잃을 위험? 로봇에 의한 사회적인 변동에 대한 두려움? 로봇에 대한 통제를 상실할 거란 두려움?

또는 그들에 대한 증오?

There are some incidents in which people attack and harm robots, especially those resembling humans.
What was the reason for those cases? Is it the danger of losing our jobs, the fear of social upheavals caused
by robots, the terror of losing our control over them, or the sole hatred against them?

 

로봇에 대한 사람들의 폭력은 아마도 로봇이라는 단어 자체에서 유래되었을 수도 있다. 로봇이라는 단어는 체코
극작가
Karel Capek 의해 만들어졌고, 계약 노예상태의 기계를 의미한다. 그래서, 사람들을 무의식적으로 봉건
제도하의 농노반란처럼 로봇들의 반란을 두려워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어떤 사람들은 분명히 그런 정서를
가지고 있으며 로봇을 때리는 것은 로봇의 폭동을 막기 위한 선제공격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Well, the origin of people’s violence toward robots might come from the word “robot,” itself. It was
coined by Karel Capek, Czech playwright, and it means a machine of contractual servitude.
Thus, people could subconsciously fear the uprising of robots just like the peasants’ insurgency
in feudal system. And some people clearly seem to share this sentiment by claiming robot beating
is a sort of a preemptive attack against possible robot uprising.

 

다른 가능성은 우리 인간들이 서로서로를 대하듯, 로봇을 대한다는 것이다, , 내부자와 외부인을 차별하는
부족심리 로봇에 대한 폭력을 조장하는 계기가 된다는 것이다. 우리는 로봇이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알면서도,
우리 집단에 속하지 않은 사람을 우리가 피하듯이, 로봇을 배척한다,

Another possibility is that we humans treat robots as we treat each other, meaning that our
“tribal psychology,” which differentiates insiders from outsiders, serves as a trigger to wield violence
against robots. We ostracize robots as we shun people outside our own group, despite knowing that robots
are not humans.

 

그런 형태의 배척에서 역설적인 면은 로봇의 비인격화에 관한 뿌리가 로봇을 사람처럼 대하는 우리 인간들의 

성향이라는 점이다.  인간의 그러한 성향을 보여주는 가장 특징적인 예는 로봇에게 이름을 붙여주는 것이다

로봇에 대한 인간화는  사람들로 하여금 프랑켄슈타인 신드롬서 유래한 로봇을 향한 폭력으로 이어지게 되는데

이는 우리가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받아들일 없기 때문이다. 

The paradox of such an expulsion is that our dehumanization of robots has its roots on our tendency
of treating robots as humans—giving them names might be the most apparent evidence of this
human disposition. And this humanizing of robots leads to violence against them by making us
reflect “Frankenstein syndrome" since we can hardly embrace what we entirely understand.

 

거기에 더하여, 학생들 스스로를 생물학적 기계라는 관점을 갖도록 하는 서구의 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인간됨에 대한 생각과 기계라는 개념의 차이를 알기 힘들게 하여, 사람들이 인간형 기계들을 더욱 두려워하게
만들었다. 특별히 DNA 컴퓨터 코드와 유사한 것이고 묘사하는 교육을 받으면서, 사람들을 자신들이
만들 있는 기계에 근거해서 스스로를 인식할 밖에는 없었다.

In addition, the western education, teaching students to view themselves as biological machines,
so they find it difficult to tell the idea of being human from the concept of machine, which would
make people more fear humanoid machines. Especially with the education that describes DNA
as “an analog to computer code,” people cannot but perceive themselves on the basis of machines
they can create.

 

그러나, 모든 것들이 그다지 인간과 닮지 않은 기계에 대한 인간들의 적개심을 설명하지는 못한다.
가끔씩 사람들은 자율 주행차들에게 돌을 던지기도 하고, 어떤 운전자들은 의도적으로 그런 차들과 충돌하기도 한다.
그런 호전적인 행동들은 직업을 잃는 것에 대한 두려움 또는 순수한 보복 이라는 분명한 이유를 갖고 있다.
특정한 경제활동에 로봇 하나를 투입하는 것이 6명의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게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고려할 인간을 닮지 않은 기계에 대한 인간의 폭력은 주로 가지 요인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Yet, all of these cannot explain people’s hostility toward robots with not-much human appearance?
People sometimes throw stones at driverless cars and some human drivers go further—they
intentionally crash into those cars. Such belligerent actions have more direct reasons: the fear of losing
jobs or the pure revenge. Considering the fact that adding a robot in a certain economic activity has
the possibility of eliminating six human workers, the two factors seems quite obvious for humans’
violence against non-human machines.

 

그렇다면, 많은 비용이 들고 불쾌하기도 인간형 로봇을 향한 학대를 없앨 있는 방법이 있을까?  
유치원에 도입된 로봇들의 이야기가 대답이 있다. 처음에, 유치원 아이들은 로봇에게 폭력적이고,
적대적이었다, 로봇을 차기도 하고, 로봇에게 못되고 잔인하게 굴었다. 그러나, 아이들을 돌보는 선생님이
로봇들에게 이름을 붙여 주었을 , 로봇들은 이상 기계가 아닌 아이들이 이름을 부를 있는 대상이 되었다.
바로 순간부터, 아이들은 로봇에 대해 적대적으로 행동하지 않았다.

Then, is there any solution to get rid of the costly and disturbing abuse of humanoid robots?
A story of introducing robots into a kindergarten class might suggest an answer.
At first, kids were very violent and hostile to robots, kicking them, being mean and acting cruel to them.
However, when their human caregiver gave names to robots, those robots became not just machines
but the ones whom the kids can call by names. From that moment, kids actually stopped acting
hostile to them.

 

기사는 상당히 흥미로웠고,  인간들이 로봇에게, 특히 인간형 로봇들에게 폭력적인 이유들에 관해서는
상당히 강렬하다고도 말할 있을 같다. 하지만, 제시된 해결책은, 특히 인간들이 로봇을 인간처럼 다루면서도
인간과 다른 , 그리고 완전히 이해할 없는 것으로 인지하고 있다는 점을 생각할 , 약해 보였다.  

This article is quite interesting and can even be called intense about the causes why humans have
urge to become violent toward robots, especially the ones with more anthropomorphizing features.
However, I don’t think the proposed solution is weak, especially reflecting that we humans inherently
discriminate robots as something different from us and hard to be completely understood when
even treating them as humans.

 

 

Vocabulary Tips

anthropomorphize

v. 인격화하다, 의인화(擬人化); to ascribe human characteristics to things not human  (CF. anthropo-: human, morph-: form)

(Definitions From 네이버 영어 사전, the freedictionary online)  

반응형
반응형

유전자 편집에 관한 우려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How to Address Concerns over Gene Editing)

 

포스팅은 2019 1 29일자 뉴욕 타임즈의 사설, “과학자들이 생명의 비밀을 무심히 다루어도 것인가?”
읽고 
요약한 것입니다.

This posting is my summary after reading a New York Time’s editorial titled, “Should Scientists Toy
with The
Secret to Life?” published on Jan. 28, 2019.

 

사설은 최근 개의 배아에서 DNA 크리스퍼(Crispr)라는 유전자 편집 기술을 사용해서,  세계 최초로
유전적으로
강화된 디자이너 베이비들을 만들려고 했던 중국인 과학자의 사례로 시작한다. 크리스퍼(Crispr)
인간 유전자를
조작하는데 있어서 과학자들에게 전례가 없을 만큼의 편리함을 제공함은 물론이고
인간의 생명을 개조할 있는
능력을 갖춘 기술이라고 소개 되고 있다.

The editorial starts with a recent case of a Chinese scientist who tried to create the first genetically
enhanced “designer babies”in the world by altering DNA of two embryos with his use of Crispr,
a gene editing
technique. Crispr is described as a technique that provides scientists with unprecedented
ease in changing human DNA and that even has the capability of remaking human life.

 

비록 과학계 전체가 만장일치로 중국인 과학자를 비난하고 있지만, 유전자 편집에 관해서는 통합된 의견을
도출하지 못해서, 문제에 관한 포괄적이고, 세계적인 대화가 필요하다
.

Even though the entire scientific community unanimously criticized the Chinese researcher, it does
not have a unified voice on the issue of gene editing so there is a need for a comprehensive and global
dialogue over the problem.

 

그런 요구에 부응하여, 이 사설은 유전자 편집에 대한 효과적인 논의를 위한 3가지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1. 다양한 국적 및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라.

2. 대중을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시켜라.

3. 이미 존재하고 있는 조치를 활용해서 금지된 유전자 편집을 막고, 적절한 유전자 편집을 장려하라.   

Facing such a demand, the editorial suggests three ways for the effective discussion of gene editing:

1. Let many experts in various fields from many countries voice their opinions.

2. Include the public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3. Use already existing measures to prevent prohibited gene editing processes and promote appropriate ones.

 

실제 사설을 읽을 도움이 단어들 (Helpful Vocabularies for the Actual Editorial)   

toy with ~

phr v. (어떤 것을 아무렇게나) 만지작거리다; treat casually or without seriousness

designer baby

n. 디자이너 베이비(예컨대 질병이 있는 형제자매에게 세포를 제공하는 것과
같은 특별한 목적을 위해, 체외수정을 통해 얻은 여러 개의 배아 하나를
선별하여 태어나게 아기); a baby that is the product of genetic engineering

skew

v. 왜곡하다; to give a bias, distort

go rogue

phr v. (규율이나 관습을 따르지 않고) 멋대로 굴다; display some degree of independence or fail to follow an expected script

weigh in

phr v. 관여하다, 의견을 내다 (CF. weigh in on ~: ~ 대해 관여하다, 의견을
내다);
to join in a discussion

(Definitions From 네이버 영한 사전, The Free Dictionary, Merriam-Webster Online)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