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hen used with bad intent, the box has an unimaginable capacity for evil.

When left alone, it can be a strong force for good.”

나쁜 의도를 가지고 사용된다면, 상자는 악을 위해 상상도 없던 능력을 발휘할거야.

그냥 내버려 둔다면, 박스는 선을 위한 강력한 힘이 있고.”

 

These are the lines appearing in the next-to-last chapter of the novella,

“Gwendy’s Button Box,” written by Stephen King and Richard Chizmar.

문장들은 스티븐 킹과 리차드 치즈마가 그웬디의 버튼 상자라는 중편 소설의

끝에서 번째 장에 나옵니다.

 

To me, the box, the button box seems to refer anything with great power and ability.

제게, 그 상자, 버튼 상자는, 엄청난 힘과 능력을 가진 모든 것을 의미하는 같습니다.

 

As the author wrote, if such a thing is used with bad intent,

it would ruin not only people whom the box influences but also the person who uses it.

작가가 썼듯이, 만약 박스가 나쁜 의도를 갖고 사용된다면,

박스의 영향을 받게 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그것을 사용한 사람도 망치게 겁니다.

 

Well, when I first read the quoted sentences, one question arises: What does the author

omit talking about using it (whether the box, power or capability) with good intent?

그런데, 인용된 문장을 처음 읽었을 , 질문 하나가 생겼습니다:

좋은 의도를 갖고 그런 박스 (또는 힘이나 능력)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을까요?

 

Well, clearly I am not the author, but I guess “having good intention” cannot

be judged objectively.

비록 제가 작가는 아닙니다만, 추측하건대 좋은 의도를 가졌다라는 것은

객관적으로 판단될 없기 때문입니다.

 

Also, it is true that something good for an individual is not necessarily good for others.

그리고, 개인에게 좋은 것이 다른 사람들에게도 좋을 거란 법은 없습니다.

 

Moreover, there even exists a danger that doing something with good faith intent

could bring disaster to everyone involved in it.

게다가, 선의를 갖고 일이 거기에 연관된 모든 사람들에게 재앙을 불러 일으키게 되는

위험조차 존재합니다.

 

How can that happen?

어떻게 그런 일어날 있을까요?

 

Just imagine what you would do when you are told not to think about a pink elephant.

You most likely end up thinking about it all the time.

분홍색 코끼리를 생각하지 말라는 말을 들었을 어떤 행동을 하게 될지 생각해보셔요.

내내 그것만 생각하게 가능성이 아주 높죠.

 

This is because any human’s intent is just like a double-edged sword,

which makes you focus on things you desire and you dread simultaneously.

Thus, when a person yearns for wealth, he unconsciously desires poverty at the same time.

사람의 의도란 양날의 검과 같아서, 당신은 원하는 것에 집중을 하면서

동시에 두려워하는 것에 집중하게 됩니다.

그래서, 부를 열망하면서도, 동시에 빈곤을 원하게 됩니다.

 

Then, how not to be caught in such an unnecessary thought trap?

그렇다면, 어떻게 그런 불필요한 생각의 덫에 걸리지 않을 있을까요?

 

Here comes the concept of letting go of everything.

여기에서 원하는 모든 것을 놓아주라는 개념이 등장합니다.

 

Please do not confuse having the attitude of letting go with being idle or derelict on everything.

모든 것을 놓아주는 태도를 갖는 것을 모든 일에 나태해지는 것이나

무책임해지는 것과 혼동하시면 안됩니다.

 

Having such an attitude means that you are doing your best on what you wish,

but you are neither obsessed with nor worried about the result.

모든 것을 놓아주는 태도를 갖는다는 것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위해 최선을 다하되,

결과에 대해 집착하거나 걱정하지 않는 것입니다.

 

Regarding this, letting go of everything is quite similar to let it left alone, being neutral to it.

이런 면을 생각했을 , 모든 것을 놓아준다 라는 것은 모든 것을 내버려 두는 ,

모든 것에 중립적인 것과 상당히 비슷합니다.

 

The simple quoted lines imply profound wisdom,

which is really crucial and necessary to anyone wishes something.

인용된 간단한 문장은 원하는 것이 있는 모든 사람에게

정말 중요하고 필요한 심오한 지식을 전하고 있습니다.

 

Actually, I do really believe that is the beauty of Stephen King’s works,

hinting something significant under the surface that seemingly looks mundane and simple.

실제로 저는 평범하고 간단해 보이는 표면 아래에 중요한 것을 암시하는 것이

스티븐 작품의 뛰어난 점이라고 믿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테드
창의 바빌론의 처음부터 반한 이유.

The Reason Why I Fell For Ted Chiang’s Tower of Babylon From the Very First.

 

다음은 테드 창이 쓴 바빌론의 탑의 문장 네 개짜리 첫 번째 문단이다.   
Below is the first paragraph comprised of four sentences from "Tower of Babylon" by Ted Chiang.

 

탑이 만약 시날(Shinar) 평면을 가로질러 눕혀져 있는 거라면, 이틀 동안 걸어가야만
끝에서 다른 끝에 닿을 있었다.

“Were the tower to be laid down across the plain of Shinar, it would be two days’ journey
to walk from one end to the other.”

 

그러나, 탑은 수직으로 있기 때문에, 없이 이동하는 사람이 탑의 아래에서 정상으로
올라가는 데는 꼬박 반이 걸린다.

“While the tower stands, it takes a full month and a half to climb from its base to its summit,
if a man walks unburdened.”

 

하지만, 손으로 탑을 올라가는 사람들은 거의 없고, 벽돌을 실은 손수레를 끌고
오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탑을 오르는 속도는 느려질 밖에 없었다.   
But few men climb the tower with empty hands; the pace of most men is slowed by the carts of bricks
that they pull behind them.”


벽돌
하나가 손수레에 실리고, 탑의 일부분이 되려고 수레에서 내려지는 4개월이 걸렸다.

“Four months pass between the day a brick is loaded onto a cart,
and the day it is taken off to form a part of the tower.”

 

이 첫 문단을 읽고 단편 소설에 완전히 빠져 버렸다.
This first paragraph was what made me totally fall for this short story. 


번째 문장에서 작가는 마음 속에 탑의 크기에 대한 선명한 이미지를 심어주었다.
탑이 평면적인 건물이라면 얼마나 넓을 것인지를.
From the first sentence, the author succeeded in imprinting a clear image of the tower’s size
to my mind.
How wide it would be if were just a horizontal structure.


이후
작가는 탑을 자체로, 수직적인 건물로 보여준다.
하지만, 여전히 탑은 나에겐 약간은 추상적인 , 상상 속에서 수는 있으나,
단지 그것 뿐인.. 구경꾼으로서 보고 있는  같은 그런 존재이다.
Then he let me look at it  as it was—a vertical edifice.
Still, the tower was a thing somewhat abstract to me,
meaning that
I could see the tower in my imagination,
but that was all—I was just an onlooker.

그러나 번째 문장에서 나는 탑을 명백한 실체로서 인식하기 시작했고,
탑의 정상에 다다르는 것이 얼마나 힘들 일인지를 느꼈다.
단락의 마지만 문장에서, 작가는 유려하게 탑의 정상까지의 여정이 얼마나 걸리는지를
수레에 실은 벽돌을 문장의 주어로 만들어 보여주는데, 정말 대단히 뛰어나고, 창의적인 발상이었다
However, with the third sentence, I started to perceive the tower as a tangible reality,
feeling how arduous it would be to climb up the tower.
An in the last sentence of this paragraph, the author eloquently depicts
the length of the journey to the tower’s top by presenting bricks as the subject of the sentence,
which was a definitely brilliant and creative idea.   

 

반응형
반응형


학교성적과
현실세계에서의 성공 사이의 관계에 관해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PA at school
and success in the real world  

(From Chapter I, on Pages 9~10, Barking Up the Wrong Tree, by Eric Barker)   

 

학생들을 학교에서 쉽게 인정 받도록 해주는 것들이, 외려 학생들이 학교 밖에서 성공을 거둘 있는
가능성을 줄인다는 것을 연구에서 밝혀냈다.

“Research shows that what makes students likely to be impressive in the classroom is
the same thing that makes them less likely to be home-run hitters outside the classroom.”

그렇다면, 고등학교 수석들이 현실 세계의 일등이 되지 못하는 걸까?

“So why are the number ones in high school so rarely the number ones in the real world?”

 

여기엔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학교는 지시 받은 일을 꾸준히 하는 학생들에게 상을 준다.
학업 성적과 지능은 단지 느슨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을 뿐이다 (표준화된 시험이 IQ 검사하는 효과적이다).
그러나, 학업 성적은, 자기 훈련, 성실성, 그리고 규칙 준수 능력을 훌륭하게 예측할 있다.
Boston College
연구자인 Karen Arnold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본질적으로, 우리는 순종과 체계를 기꺼이 따르려는 의지에 대해 상을 수여합니다.”
많은 졸업생 대표(성적이 수석인 졸업생대표)들은 자신들이 가장 똑똑한 학생이 아닌,
가장 열심히 공부하는 학생이었다는 것을 인정한다.

“There are two reasons. First, schools reward students who consistently do what they are told.
Academic grades correlates only loosely with intelligence (standardized tests are better at measuring IQ).
Grades are, however, an excellent predictor of self-discipline, conscientiousness, and
the ability to comply with rules. In an interview, Karen Arnold, a researcher at Boston College, said,
‘Essentially, we are rewarding conformity and willingness to go along with the system.’
Many of the valedictorians admitted to not being the smartest kid in class, just the hardest workers.......”

 

번째 이유는 학교는 다방면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상을 주는 곳이라는 점이다.
열정이나, 전문성은 학교에서 인정을 받지 못한다. 그러나, 현실 세계는 그와 반대이다....
이런 식의 다방면적 지식을 추구하는 접근방법은 전문성으로 이어질 없다.   

“The second reason is that school reward being a generalist.
There is little recognition of student passion or expertise. The real world, however, does the reverse......
This generalist approach doesn’t lead to expertise.
Yet, eventually we almost all go on to careers in which one skill is highly rewarded
and other skills aren’t that important.”

 

(From Chapter I, on Pages 9~10, Barking Up the Wrong Tree, by Eric Barker)   

CF. This book is translated in Korean with the title “세상에서 가장 발칙한 성공 법칙.”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