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n/the 800-pound gorilla: This is an American idiom.

It means a person or organization that is so powerful that

it can do what it wants without considering the rights of others or even the law.

It stems from a riddle joke: “Where does an 800-pound gorilla sit?

The answer is “Anywhere it wants to.”

800 파운드 고릴라 라는 말은 미국식 관용구입니다.

(권력, 영향력)이 너무나 세서

다른 사람들의 권리나 법 조차도 고려하지 않고 원하는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이나 조직을 말합니다.

-관용구는 “800 파운드 고릴라는 어디에 앉지?” 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 어디든 자기가 앉고 싶은 곳에.” 라는 수수께끼 농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Source: https://en.wikipedia.org/wiki/800-pound_gorilla)   

 

The problem with this kind of idiom is that it is very hard to

express it with a clear Korean word—or even words.

The only way to achieve proper translation of the word is to deeply understand the contest

in which it is used without being obsessed with particular words.

It would be natural to express this idiom in various ways.

이런 류의 관용구와 관련된 문제는 분명한 한국어로 표현하기 힘들다는 거죠.

제대로 번역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특정한 단어에 집착하지 않고

이 관용어구가 쓰인 문맥을 깊이 이해하는 것입니다.

다양한 방법으로 이 관용구를 표현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Please refer examples below.

아래의 예들을 참고해보셔요.

 

How can your construction firm take down the 800-pound gorilla that dominates your market?

The short answer is to build a legacy brand.

어떻게 당신의 건설회사가 (건설)업계를 지배하고 있는 엄청난 거물 회사를 이겼죠?

간단한 답은 전설적인 브랜드를 만드는 겁니다.

(Source: https://fraleyconstructionmarketing.com/2017/05/22/800-pound-gorilla-legacy-brand/)

 

The world is bearing witness to the most substantial realignment” since then,

Risch told the Boise Committee on Foreign Relations in a speech Friday at Boise State University.

We’re still the 800-pound gorilla, but we do have some competitors,” he said, f

acing global competition from China, a resurgent Russia, and “rogue states like Iran and North Korea.”

그때부터 세계는 가장 중대한 재편성을 목격하고 있습니다”,

Risch는 금요일 Boise 주립대학의 국제관계 위원회에서의 연설에서 말했다.

우리는 여전히 최고의 강대국입니다, 하지만 우리에겐 경쟁자가 있죠.”

중국과 되살아난 러시아 그리고 이란이나 북한 같은 불량국가들과의 세계적인 경쟁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Source: https://lmtribune.com/northwest/risch-we-re-still-the--pound-gorilla/article_2b9d4c1c-02c5-57e4-ab7d-f5b40aa6190d.html)

 

While parting ways with an 800-pound gorilla will never be easy, it is far from impossible.

힘있는 거물(회사, 조직)과 헤어지는(작별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지만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Source: https://neworleanscitybusiness.com/blog/2019/08/06/op-ed-wicked-problem-no-1-the-800-pound-gorilla/)

 

반응형

'Idio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other/the final nail in the/one's coffin  (0) 2020.04.10
a/the gorilla in the room & an/the 800-pound gorilla in the room  (0) 2020.04.07
In The Prime Of  (0) 2020.04.02
Far From ~  (0) 2020.03.25
A Streaming Cold  (0) 2020.01.29
반응형

 

About Humans' Ignorance & Their Habit of Blaming Others

from A History of The World in 10 1/2 Chapters

인간의 무지와 다른 사람을 비난하는 버릇에 관해

 

The parts with quotation mark in this post are word-for-word quotes

from Julian Barnes’s book, “A History of The World In 10 1/2 Chapters,

especially some sentences from chapter one: “The Stowaway,” page 29)

이 게시물에서 인용부호가 있는 부분들은 줄리언 반스의

“10 1/2장으로 쓴 세계역사1장 밀항자, 2쪽의 내용 중 몇 문장들을

글자 그대로 인용한 것입니다.  

 

Yet, quoting sentences from the book,

I believe it would be necessary to explain the setting of this book

in order for readers of this post to understand what the quotes really mean.

하지만, 책에서 문장들을 인용하기 전에,

이 책의 배경을 설명하는 것이 이 게시물을 읽는 분들이

이 인용의 의미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The narrator of “The Stowaway” is an individual which belonged to one of the species

that had not been invited to get on board Noah’s ark, but sneaked into it.

(To avoid spoilers, I don’t reveal what species the narrator was.)

With other members of the same species, it stowed away on the ark and survived the flood.

Having secretly lived in the ark and observed Noah’s family (well, the entire human race)

during the flood and the life on the land afterwards, it possessed quite critical

and cynical view on human race, especially on Noah and his family.   

밀항자의 화자는 노아의 방주에 탑승하라는 초대를 받지 못했지만, 밀항한 종들 중 하나의 일원입니다.

(스포일러를 피하기 위해 화자의 종은 밝히지 않겠습니다)

같은 종 몇몇과 함께 그는 노아의 방주에 밀항했고, 홍수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습니다.

몰래 방주 안에서 살면서 또 홍수기간 및 그 이후 육지 생활 동안 노아의 가족들(전체 인류)을 관찰하면서,

화자는 인류, 특히 노아와 그 가족들에 대해 상당히 비판적이고  냉소적인 관점을 갖게 됩니다

 

Here is what the narrator told the readers about human’s ignorance.

화자가 독자들에게 인간의 무지에 대해 말하는 부분입니다.

 

“You aren’t too good with the truth, either, your species.

You keep forgetting things, or you pretend to.

The loss of Varadi (CF. Noah’s dead son in this story) and his ark—does anyone speak of that?

I can see there might be a positive side to this willful adverting of the eye:

ignoring the bad things make it easier for you to carry on.

But ignoring the bad things makes you end up believing that bad things never happen.

You are always surprised by them.

It surprises you that guns kill, that money corrupt, that snow falls in winter.”

당신들(인간들)은 진실 또한 잘 받아들이지 못하지, 인간이라는 종은.

당신들은 계속 뭔가를 망각하지, 아니면 망각한 척 하지.

Veradi (참고: 이 글에서 죽은 노아의 아들)과 그의 방주를 잃은 것에 대해 말하는 사람이 당신들 중 누구라도 있나?

이런 식으로 고의적으로 주의를 돌리는 것에도 좋은 점이 있긴 하지:

안 좋은 일들을 무시하는 건 당신들이 계속 살아가는 걸 쉽게 하긴 하지.

그렇지만 안 좋은 일들을 무시하는 건 당신들에게 결국 안 좋은 일 같은 건 절대 없다는 믿음을 갖게 할 거야.

당신들은 언제나 안 좋은 일에 놀라지.

총이 사람을 죽인다는 것, 돈이 부패했다는 것. 겨울에 눈이 온다는 것, 이런 것들은 언제나 당신들을 당혹스럽게 하지.” 

(Source: “A History Of The World In 10 1/2 Chapters by Julian Barnes Page 29 번역본: 10 1/2장으로 쓴 세계역사)

 

And here’s about blaming others.

타인을 비난 하는 것에 대한 부분입니다.

 

“Blame someone else, that’s always your first instinct.

And if you can’t blame someone else, then start claiming the problem isn’t a problem anyway.

Rewrite the rules, shift the goalposts.”

다른 사람을 비난하는 것, 이건 당신들(인간들)의 첫째가는 본능이지.

만약 다른 사람을 비난할 수 없다면, 당신들은 그 문제는 어쨌든 문제가 되지 않는 것이라고 주장하기 시작하지.

원칙을 다시 쓰고, 골대를 바꾸지(관점이나 판단을 바꾼다는 의미).”

(Source: “A History Of The World In 10 1/2 Chapters by Julian Barnes Page 29 번역본: 10 1/2장으로 쓴 세계역사)

 

Actually, it would be better for all of us to read the entire page where the quotes above come from

and a lot better if we read the entire chapter.

Certainly, reading this book will be the best.

Yet, I believe you can at least get the gist of what the narrator of the first chapter

wanted to tell by reading the quotes above.

사실 위의 인용들이 있는 전체 페이지의 내용을 다 읽는 게 더 낫고,

이 챕터를 다 읽는다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물론 이 책 전체를 다 읽는다면 더 좋겠죠.

하지만, 적어도 위의 인용들이 첫 번째 장의 화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의 핵심을 대표한다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sterling (adjective): of the highest quality; 매우 뛰어난, 훌륭한

 

I believe most of you are familiar with the word “sterling” as a noun.

명사로 쓰이는 sterling 에 대해서는 대부분 익숙하실 겁니다.

 

When sterling is used as a noun it means British money, the pound.

명사로 쓰일 경우 sterling은 영국 화폐, 파운드를 의미하죠.

 

It also means British coinage with a basic fineness 0.5000 for silver

and 0.91 for gold

또한 표준순도 0.5000의 영국 은화와 0.91의 영국 금화를 만드는

영국 화폐주조를 말하기도 하죠.

 

Adding to that it refers sterling silver and articles made of that silver.

거기에 더해 순은 (순도92,5)과 순은으로 만든 물건을 말하죠.

 

Used as an adjective, it has three meanings,

two of them are closely related to its usage as a noun:

one is “composed of or relevant to sterling or British money”,

and the other is “made up of sterling silver.”

형용사로 쓰이는 sterling은 세 가지 뜻이 있는데,

그 중 두 개는 명사로써의 sterling 과 밀접한 관계기 있습니다.

하나는 파운드나 영국 화폐로 구성된, 또는 관련된,”

다른 하나는 순은으로 만들어진입니다.

 

Well, what we have to pay attention to is its third meaning of sterling as an adjective,

which refers “of the highest quality.”

우리가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은 형용사로 쓰인 sterling 3째 의미

매우 뛰어난, 훌륭한입니다.

(Source: the Free Dictionary & 다음 영어사전) 

 

Keeping pound after independence may well be a sterling idea.

Can a country be politically independent yet still use the currency of another nation?

And, if so, what limitation does this place on the economic policy of the new state?

독립 후에도 파운드화를 유지하는 것은 아마도 훌륭한 생각일 것이다.

한 나라가 정치적으로는 독립했지만 여전히 다른 나라의 화폐를 사용할 수 있나?

만약 그렇게 된다면, 타국 화폐 사용이 새로운 나라의 경제 정책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인가?

(Source: scotsman.com) 

 

David Tipton, Barea’s dean of labor and a Barea graduate, is a sterling example of what he speaks.

Barea 대학의 졸업생이자 근로 프로그램의 학장인 David Tipton은 그가 주장하는 것의 훌륭한 예이다.

(Source: The Job: Work and Its Future in a Time of Radical Change” written by Ellen Ruppel Shell Page 209) ‘

 

Babs and Cheryl had done a sterling job of handling constituent problems.

Babs Cheryl은 선거 구민들의 문제를 처리하는 데 있어 훌륭한 일을 했다.

(Source: A Fresh Start: Book 6 by Rollie Lawson [Page number is not available.] via google search)

반응형

'Vocabular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shuddering aversion  (0) 2020.04.19
mastermind [noun, verb]  (0) 2020.04.18
Slight (noun, 명사)  (0) 2020.03.24
Back Pay  (0) 2020.02.07
cul-de-sac  (0) 2019.02.27
반응형

 

in the prime of ~: ~의 전성기에

 

If you look for this idiom in a dictionary,

you’re most likely to find it with the words “life” or “one’s life.”

이 이디엄을 사전에서 찾아보신다면,

주로 “life” “one’s life” 와 같이 쓰이는 것을 볼 수 있을 겁니다.

 

Read the two examples below.

아래 두 개의 예시를 보셔요.

 

Star student died in the prime of his life.

최우수 학생이 삶의 전성기에 숨졌다.

(Source: https://sundial.csun.edu/10458/archive/starstudentkilledintheprimeofhislife/)

 

My father was in the prime of life when he was diagnosed with cancer.

아버지께서는 인생의 전성기에 암 진단을 받으셨다.

(Source: https://idioms.thefreedictionary.com/in+the+prime+of+his+life)

 

Yet, the idiom, “in the prime of,” can be used with other words.

그렇지만 “in the prime of”는 다른 단어들과 함께 쓰일 수 있어요.

 

Look at the examples below.

아래 예시들을 보셔요.

 

Dead? Dead? That young Norse God in the prime of his health and strength.

Struck down all in a moment.

Healthy young men didn’t like that, choking over a whiskey and soda….

No, they couldn’t take it in.

죽었어? 죽었다고? 건강과 힘의 전성기에 있던 저 젊은 북유럽 신이.

한 순간에 쓰러져서.

건강한 젊은이는 위스키와 소다를 마시다 목이 메서 죽지 않아

아니야, 그들은 받아들일 수 없었다.

(Source: “And Then There Were None” by Agatha Christie Page 68)

 

He was in the prime of his youth, when the desire of worldly progress

and material comfort and prosperity is strongest in a man's mind.

그의 인생에서 세속적인 출세와 물질적 편안함

그리고 번영에 대한 욕구가 가장 강했을 때가, 그의 젊음의 전성기였다.

(Source: https://www.wordhippo.com/what-is/sentences-with-the-word/prime_of_his_youth.html)

 

Not only was he in the prime of his life, but because he came to Congress at such an early age,

he was in the prime of his career as well

너무나도 어린 나이에 국회에 입성했기 때문에,

그는 인생의 전성기뿐만이 아닌 경력의 전성기에도 있었다.

(Source: Memorial Services Held in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and Senate of the United States,

Together with Tributes Presented in Eulogy of John M. Ashbrook,

Late a Representative from Ohio, Ninety-seventh Congress, Second Session

by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82 - Page 12 )

반응형

'Idio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the gorilla in the room & an/the 800-pound gorilla in the room  (0) 2020.04.07
an/the 800-pound gorilla  (0) 2020.04.06
Far From ~  (0) 2020.03.25
A Streaming Cold  (0) 2020.01.29
in exchange for  (0) 2019.11.23
반응형

 

Ghost Jobs? (유령 일자리?) from The Job 

 

The content of this post comes from Pages 170~171

The Job: Work and Its Future in a Time of Radical Change” written by Ellen Ruppel Shell.

이 게시물의 내용은 Ellen Ruppel Shell의 저서 일자리: 급격한 변화의 시기의 일과 일의 미래

(번역본: 일자리의 미래 왜 중산층의 직업이 사라지는가)170~171쪽의 내용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The Federal Reserve reports reveal that employers list far more jobs,

claiming those are available to job applicants,

than the real job openings measured by the Bureau of Labor Statistics.”

미 연방준비 은행의 보고서가 고용주들이 미국 노동통계국에서 판단한 실제 직장의 빈 자리 보다

더 많은 일자리에 구직자가 필요하다고 구인광고를 낸다는 것을 밝혀냈다.

 

Such discrepancies between the number of jobs listed and that of actual jobs needed is

referred as “ghost jobs” by some human resource professionals.

구인광고가 나온 일자리 개수와 실제 필요한 일자리 개수 간의 차이를 몇몇 인적자원 전문가들은

유령 일자리라고 지칭한다.    

 

When a company, without clear intention to hire someone, puts a job opening post, a ghost job emerges.

한 회사가 사람을 채용하겠다는 분명한 의도 없이 채용 공고를 낼 때, 유령 일자리가 생긴다.

 

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companies to create ghost jobs.

회사가 유령 일자리를 만드는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The company might want to attract a top-class worker who actually has a job now,

but could move with a right offer.

회사는 아마도 현재 실제로 직업을 갖고 있지만, 알맞은 제안을 받는다면

직장을 옮길 수도 있는 최고급 직원을 끌어오길 원하는 것일 수도 있다.  

 

Or, such ghost jobs without actual openings might afford the company plenty of time

to hire the most appropriate candidates for the positions.

또는, 실제 빈 자리가 없는 유령 일자리는 회사에게 특정 직급에 가장 맞는 지원자를

고용할 충분한 시간을 준다.

 

Also, putting job opening posts, even with ghost jobs, helps the company recognized as successful,

implying it is in the position of hiring more workers.

또한, 비록 유령 일자리라 해도, 구인 광고를 올리는 것은 그 회사가 성공적이라는 인식을 주게 되는데,

이것은 그 회사가 더 많은 직원을 고용할 위치에 있다는 것을 암시해주기 때문이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