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hen used with bad intent, the box has an unimaginable capacity for evil.

When left alone, it can be a strong force for good.”

나쁜 의도를 가지고 사용된다면, 상자는 악을 위해 상상도 없던 능력을 발휘할거야.

그냥 내버려 둔다면, 박스는 선을 위한 강력한 힘이 있고.”

 

These are the lines appearing in the next-to-last chapter of the novella,

“Gwendy’s Button Box,” written by Stephen King and Richard Chizmar.

문장들은 스티븐 킹과 리차드 치즈마가 그웬디의 버튼 상자라는 중편 소설의

끝에서 번째 장에 나옵니다.

 

To me, the box, the button box seems to refer anything with great power and ability.

제게, 그 상자, 버튼 상자는, 엄청난 힘과 능력을 가진 모든 것을 의미하는 같습니다.

 

As the author wrote, if such a thing is used with bad intent,

it would ruin not only people whom the box influences but also the person who uses it.

작가가 썼듯이, 만약 박스가 나쁜 의도를 갖고 사용된다면,

박스의 영향을 받게 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그것을 사용한 사람도 망치게 겁니다.

 

Well, when I first read the quoted sentences, one question arises: What does the author

omit talking about using it (whether the box, power or capability) with good intent?

그런데, 인용된 문장을 처음 읽었을 , 질문 하나가 생겼습니다:

좋은 의도를 갖고 그런 박스 (또는 힘이나 능력)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을까요?

 

Well, clearly I am not the author, but I guess “having good intention” cannot

be judged objectively.

비록 제가 작가는 아닙니다만, 추측하건대 좋은 의도를 가졌다라는 것은

객관적으로 판단될 없기 때문입니다.

 

Also, it is true that something good for an individual is not necessarily good for others.

그리고, 개인에게 좋은 것이 다른 사람들에게도 좋을 거란 법은 없습니다.

 

Moreover, there even exists a danger that doing something with good faith intent

could bring disaster to everyone involved in it.

게다가, 선의를 갖고 일이 거기에 연관된 모든 사람들에게 재앙을 불러 일으키게 되는

위험조차 존재합니다.

 

How can that happen?

어떻게 그런 일어날 있을까요?

 

Just imagine what you would do when you are told not to think about a pink elephant.

You most likely end up thinking about it all the time.

분홍색 코끼리를 생각하지 말라는 말을 들었을 어떤 행동을 하게 될지 생각해보셔요.

내내 그것만 생각하게 가능성이 아주 높죠.

 

This is because any human’s intent is just like a double-edged sword,

which makes you focus on things you desire and you dread simultaneously.

Thus, when a person yearns for wealth, he unconsciously desires poverty at the same time.

사람의 의도란 양날의 검과 같아서, 당신은 원하는 것에 집중을 하면서

동시에 두려워하는 것에 집중하게 됩니다.

그래서, 부를 열망하면서도, 동시에 빈곤을 원하게 됩니다.

 

Then, how not to be caught in such an unnecessary thought trap?

그렇다면, 어떻게 그런 불필요한 생각의 덫에 걸리지 않을 있을까요?

 

Here comes the concept of letting go of everything.

여기에서 원하는 모든 것을 놓아주라는 개념이 등장합니다.

 

Please do not confuse having the attitude of letting go with being idle or derelict on everything.

모든 것을 놓아주는 태도를 갖는 것을 모든 일에 나태해지는 것이나

무책임해지는 것과 혼동하시면 안됩니다.

 

Having such an attitude means that you are doing your best on what you wish,

but you are neither obsessed with nor worried about the result.

모든 것을 놓아주는 태도를 갖는다는 것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위해 최선을 다하되,

결과에 대해 집착하거나 걱정하지 않는 것입니다.

 

Regarding this, letting go of everything is quite similar to let it left alone, being neutral to it.

이런 면을 생각했을 , 모든 것을 놓아준다 라는 것은 모든 것을 내버려 두는 ,

모든 것에 중립적인 것과 상당히 비슷합니다.

 

The simple quoted lines imply profound wisdom,

which is really crucial and necessary to anyone wishes something.

인용된 간단한 문장은 원하는 것이 있는 모든 사람에게

정말 중요하고 필요한 심오한 지식을 전하고 있습니다.

 

Actually, I do really believe that is the beauty of Stephen King’s works,

hinting something significant under the surface that seemingly looks mundane and simple.

실제로 저는 평범하고 간단해 보이는 표면 아래에 중요한 것을 암시하는 것이

스티븐 작품의 뛰어난 점이라고 믿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