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chadenfreude: pleasure derived from the misfortunes of others.

schadenfreude는 직역하면 다른 사람들의 불운/불행으로부터 나오는 기쁨이라는 의미입니다.

This word, schadenfreude, is actually German. Schaden means damage and Freude means joy.

이 단어, schadenfreude,는 사실 독일어입니다. Schaden은 피해라는 의미이고 Freude는 기쁨이라는 의미입니다

영한사전으로 찾아보시면 schadenfreude타인의 불행이나 재난을 좋아하기

남의 불행에 대해 갖는 쾌감이라는 의미로 나옵니다.

(Source: the Free Dictionary, 다음 영어사전, 네이버 영어사전)

 

Before looking at example sentences of “schadenfreude,” let me explain how I get to know this word.

schadenfreude (남의 불행에 대해 갖는 쾌감)의 예문들을 보기 전에, 제가 이 단어를 어떻게 알게 되었는지를

설명 드리겠습니다.

 

I first came across this word while watching an episode of a TV series called Boston Legal.

저는 Boston Legal(보스톤 리걸)이라는 TV 시리즈의 한 에피소드를 보다가 이 단어를 우연히 발견했습니다.

In that episode, the male leading role in the series, a lawyer, 

defended a beautiful woman suspected to murder her rich husband.

그 에피소드에서 변호사인 그 시리즈의 남자 주인공은 

부자 남편을 죽였다는 의심을 받는 아름다운 여성을 변호합니다.

The woman pleaded not guilty, but during her trial, she remained cold, 

never even trying to get the jury’s sympathy by showing her emotion.

그녀는 무죄를 주장하고 있었지만, 재판을 하는 동안, 그녀는 냉담한 태도를 유지했고

자신의 감정을 보이면서 배심원들의 동정을 사려는 노력을 전혀 하지 않았습니다.

Thus, the trial didn’t go well for her, but the lawyer (the lead character) managed to save her 

by attacking the jury for only having schadenfreude without having a reasonable doubt.

그래서, 재판은 그녀에게 불리하게 진행되었지만, 주인공인 변호사는 배심원들이 

합리적인 의심 없이 남의 불행에 대해 갖는 쾌감만을 갖고 있다고 공격함으로써 그녀를 구해내게 됩니다.

 

Now, let’s dive into more example sentences of schadenfreude.

이제 schadenfreude의 예문들을 보시죠!

 

In this article we address why and when people feel schadenfreude (pleasure at the misfortunes of others) 

in both interpersonal and intergroup contexts.

이 논문에서 우리는 왜 그리고 언제 사람들이 대인 및 집단 맥락에서 

타인의 불행에 대한 쾌감을 갖게 되는지를 다룹니다.

(Source: The role of self-evaluation and envy in schadenfreude, 

by Wilco w. van Dijk, Jaap W. Ouwerkerk, & Mina Cikara, 

published in December 2015, in European Review of Social Psychology)

 

There are few words in any language as fun to say as schadenfreude

Its etymology is easy to understand. Schadenfreude, the pleasure in someone else’s pain, 

comes from the German words for those exact emotions. 

But people can also take pain in someone else’s pleasure. Why isn’t there a word for that?

어떤 언어에도 schadenfreude (타인의 불행에 대한 쾌감)란 만큼 말하기 즐거운 단어는 흔치 않다

schadenfreude, 다른 사람의 고통에 대해 느끼는 즐거움,는 정확히 바로 그런 감정을 의미하는 독일어 단어입니다

그러나 사람들은 남의 기쁨에 대한 고통 또한 느끼죠. 왜 그런 고통을 설명하는 단어는 없나요?

(Source: “Schadenfreude Is in the Zeitgeist, but Is There an Opposite Term? by Ben Cohen,

 published June 12, 2015, from The Wall Street Journal)

 

There is no English translation for the German word schadenfreude—that 

small, private rush of glee  in response to someone else’s misfortune. 

But everyone recognizes the emotion, even if he or she might not have a word for it 

(or admit to feeling it). 

Tabloids have long relied on people’s fascination with public failures: 

moralizing politicians or entitled actresses disgraced for their peccadilloes.

독일어 schadenfreude—다른 사람의 불행에 대한 사소하고 

사적인 갑자기 끓어오르는 기쁨에 대한 영어번역은 없다

그러나, 비록 개개인이 그런 감정을 표현하는 단어가 없거나

또는 그런 감정을 느낀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다 해도, 

모든 사람들은 그 감정을 인지할 것이다

타블로이드는 오래 전부터 도적적인 훈계를 하는 정치인이나 유명한 여배우들이 

사소한 실수로 망신을 당하는 것 같은 공개적인 실패에 관한 사람들의 강한 흥미에 의존해 왔다.

(Source: Their Pain, Our Gain: Why Schadenfreude Is Best Enjoyed in Groups. 

by Emily Anthes, from Scientific American Mind November 2010)


반응형

'Vocabular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eads-up (n, adj & v)  (0) 2020.08.02
agency (sociology)  (0) 2020.07.28
red herring  (0) 2020.07.22
gut-wrenching  (0) 2020.07.21
cradle-to-grave  (0) 2020.07.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