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ear and tear:  loss, damage, or depreciation resulting from ordinary use and exposure.

“wear and tear”는 직역하면 정상적인 사용이나 노출 때문에 생긴 손실, 손상,

또는 가치하락이라는 의미입니다.

영한사전으로 보시면 마모, 손상, 소모, /가치의 저하, 닳음등으로 나와 있습니다.

(Source: the Free Dictionary, 다음 영어사전, & 네이버 영어사전) 

 

The meaning of “wear and tear” is quite straightforward, right?

“wear and tear”의 의미는 상당히 간단하죠?  

Then, let’s find out how it is used in various sentences.

그럼 실제 다양한 문장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알아봅시다.

 

Seat covers on buses take a lot of wear and tear.

버스의 좌석 커버는 많이 닳았다. .

(Source: Cambridge Dictionary)

 

A tenant is not responsible for normal fair wear and tear to the property or any chattels

provided by the landlord when they use them normally.

The tenant is responsible for any intentional or careless damage.

세입자가 임대주가 제공한 동산(動産)이나 부동산을 정상적으로 사용한다면

그 동산이나 부동산에 대한 일상적인 적정 손상에 대해서 책임을 지지 않아도 됩니다.

세입자는 고의나 부주의로 인한 손상에만 책임이 있습니다.

(Source: New Zealand Government Ministry of Business, Innovation & Employment,

Tenancy Services, Maintenance & Inspections: Repairs and Damages)

 

“Mark lived in a five-story apartment building that was eighty years old and visibly deteriorating,

but the rent was low and this attracted students from George Washington and FBLS.

In its earlier days it had been known as the Cooper House,

but after three decades of frat-like wear and tear it had earned its nickname as the Coop.

Mark 80년 전에 지어졌고 눈에 띄게 악화되고 있지만, 싼 집세로

조지 워싱턴과 FBLS대학 학생들에게 인기가 있는 5층짜리 아파트 건물에 살고 있었다.

그 건물은 예전에는 Cooper House라고 불렸지만, 30년 동안의 남학생 사교클럽에 의한 것 같은 손상

(남학생들만 모인 사교클럽이 물건이나 건물을 아주 험하게 사용해서 심한 손상을 입힌 것을 의미) 이후,

그 건물은 닭장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Source: The Rooster Bar by John Grisham Page 0005)

 

Cartilage is a tough, flexible tissue found throughout the body.

It covers the surface of joints, acting as a shock absorber and allowing bones to slide over one another.

It can become damaged as a result of a sudden injury, such as a sports injury,

or gradual wear and tear (osteoarthritis).

Minor cartilage injuries may get better on their own within a few weeks,

but more severe cartilage damage may eventually require surgery.

연골은 몸 전체에 있는 질기고, 유연성이 있는 조직이다.

연골은 관절의 표면을 덮고 있으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뼈가 다른 뼈 위로 미끄러질 수 있게 한다.

연골은 예를 들면 운동 중 부상 같은 갑작스러운 부상이나 점차적인 마모(골관절염)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사소한 연골의 부상은 몇 주 안에 스스로 나아질 수 있지만, 더 심한 연골 손상은 결국 수술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Source: National Health Service’s Overview on Cartilage damage)

반응형

'Idio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on a first-name basis (with someone)  (0) 2020.07.29
with (all due) respect  (0) 2020.07.25
tighten one's grip on  (0) 2020.07.16
bare necessities  (0) 2020.07.15
in the wake of (something)  (0) 2020.07.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