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et's talk about the word, faculty, with a rather unfamiliar meaning to us. 

우리에게 약간은 덜 익숙한 의미를 가진 faculty에 대해 알아봅시다!

 

Most of us are familiar with the word faculty as “the teachers and instructors of a school or college.”

Yet, the faculty I’d like to discuss here means “a natural ability for a particular kind of action.”

우리 대부분은 교직원/교수진이라는 의미의 faculty를 잘 알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오늘 제가 여기서 논할 faculty특정한 종류의 활동에 대한 자연적인 능력을 말합니다.

영한사전에 따르면 “(사람이 타고나는 신체적, 정신적) 능력[기능]”입니다.

(Source: the Free Dictionary, 네이버 영어사전, & 다음 영어사전) 

 

Let’s repeat the meaning of faculty, ““inherent ability.” and explore its example sentences.

faculty의 의미, “타고난 능력을 되풀이해보고, 예문을 봅시다!

 

faculty: “a natural ability for a particular kind of action” “(사람이 타고나는 신체적, 정신적) 능력[기능]”

(Source: the Free Dictionary, 네이버 영어사전, & 다음 영어사전) 

 

She has a faculty for inspiring confidence in people.

그녀는 사람들에게 자신감을 고취시키는 능력을 갖고 있다.

(Source: Cambridge Dictionary) 

 

Something in the child's air and frankness touched Mr. Trumbull's heart,

and caused him to smile.

He had a houseful of children at home,

every one of whom possessed a wonderful faculty for mischief;

but this little girl's bravery disarmed his anger.

그 아이의 인상과 솔직함이 Trumbll씨의 가슴에 와 닿았고 그에게 미소를 짓게 했다.

그의 집에는 많은 아이들이 있었고,

모든 아이들이 다 나쁜 짓을 하는데 경이로울 정도의 능력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이 작은 여자아이의 용기는 그의 분노를 누그러뜨렸다.   

(Source: The Woman Lived In A Shoe by Amanda Douglas, from gutenberg.org) 

 

Stephen King churns out a lot of crap, but has a terrific faculty for storytelling.

I enjoyed the hell out of this novel and was pleasantly surprised to see

that King still has the ability to be excellent, even after all these years.

스티븐 킹은 많은 쓰레기 같은 책들을 잇달아 냈지만, 이야기를 하는 데는 엄청난 능력을 가졌다.

나는 이 소설을 몹시 즐겼고, 시간이 많이 흘렀지만 스티븐 킹이 여전히 탁월함을

이루어 내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기분 좋게 놀랐다.  

(Source: goodreads.com) 

 

If there is no one right answer in economics, then we cannot leave it to the experts alone.

This means that every responsible citizen needs to learn some economics.

By this I don’t mean picking up a thick textbook and absorbing one particular economic point of view.

What is needed is to learn economics in such a way that  one becomes aware of

different types of economic arguments and develops the critical faculty to judge

which argument makes most sense  in a given economic circumstance

and in light of which moral values and political goals

(note that I am not saying ‘which argument is correct’).

만약 경제학에 하나의 정답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전문가들에게만 경제학을 맡겨놓을 수 없다.

이것은 모든 책임 있는 시민은 경제학을 약간은 배워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나의 주장은 두꺼운 경제학 교과서를 고르거나 특정한 하나의 경제적 의견을 받아들이라는 것이 아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개개인이 다른 종류의 경제적인 논쟁을 알아차리고

어떤 논쟁이 주어진 상황에서 도덕적인 가치와 정치적인 목표를 고려해서

(내가 어떤 논쟁이 옳은지라고 말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하시라) 가장 타당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 비판적인 능력을 발달시키는 방식으로 경제학을 배우는 것이다.

(Source: Economics: The User’s Guide: A Pelican Introduction by Ha-Joon Chang Page ix

[번역서: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

 

반응형

'Vocabulari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ager beaver  (0) 2020.05.21
spice (n, v), add spice to ~, spice up~  (0) 2020.05.14
bona fide  (0) 2020.05.02
abandon (noun)  (0) 2020.05.01
produce (noun )  (0) 2020.04.27

+ Recent posts